상세검색

정현수 기자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0건 입니다.

검색어

전체  제목 제목+본문 작성자

날짜  ~

뉴스 검색결과

정현수 기자에 대한 뉴스 검색결과는 2 건 입니다.

[비바100] 젊으니까 괜찮다고? 무릎은 안 괜찮대요

안상준 2024-07-02 07:00

2022년 발표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국내 퇴행성관절염 환자는 약 324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퇴행성관절염은 65세 이상의 고령층에게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통계를 살펴보면 65세 미만의 젊은 환자도 무려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0~50대 환자들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서울예스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의 도움말로 젊은층의 관절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젊은층서 늘어나는 퇴행성 질환, 잘못된 자세 등 원인퇴행성 질환을 언급하기에 비교적 젊은 연령대인 40~50대 중장년층에게서 퇴행성관절염이 증가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표적인 생활습관병인 관절염은 잘못된 자세, 운동 부족, 비만 등을 이유로 발병한다. 중장년층의 경우 특히 과식이나 다이어트로 인한 체중 문제 등이 무릎 관절 손상의 원인이 된다. 잘못된 식습관으로 적정 체중을 초과하는 경우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해 관절염이 발생한다. 반대로 원푸드 다이어트, 금식 다이어트 등 과도한 체중 조절은 영양 불균형을 불러와 관절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또한 40대 젊은층의 경우 축구, 농구, 자전거, 스케이트, 달리기 등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은데 운동 중 갑작스런 방향 전환이나 충돌 등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연골판의 파열 또는 연골 손상 등에 노출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청소년기에 무릎연골에 손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뼈 주사와 물리치료 등으로 통증이 사라졌거나 한방에서 침이나 약으로 붓기가 가라앉으면 무릎이 다 나았다고 생각하고 정확한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상태를 그대로 방치해 두었다가 15~20년 후 퇴행성관절염이라는 병을 얻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원장은 “중장년층 연령대의 퇴행성관절염은 당연하게도 60대 이상 어르신들의 퇴행성관절염에 비해 증상이 경미한 경우가 많다”며 “모든 질병이 그러하듯 관절염 또한 경미한 증상일 때 적극적인 치료를 하면 치료 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에 방치하기 보다는 적극적인 치료에 임할 때 노년의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중장년층 관절염, 주사·관절경 이용 치료 효과적중장년층의 경우 일단 무릎 관절 손상이 의심된다면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무릎 관절은 뼈의 손상 이전에 연골, 인대의 손상이 먼저 생기는데 이 조직들은 X선 촬영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중장년층 환자들의 경우 무릎 관절이나 연골의 손상부위가 노년층에 비해 적기 때문에 주사 치료나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최근에는 2~3기 무릎 관절염 환자들에게 자신의 골수줄기세포를 추출하여 손상된 연골에 주사하는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 치료가 중장년층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에게 적용되고 있다. 환자의 골반뼈 중 피부와 가장 인접해 있는 장골능 부분에서 골수혈액을 흡인한 뒤 원심분리기를 이용, 혈장과 혈구로 분리한 후 줄기세포층만 뽑아 농축물을 추출하여 무릎 관절강 내에 손상된 연골에 주사하는 치료법이다.1회 주사로 1~2년 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환자 본인의 몸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거부 반응이나 유전자 변이 위험이 없다. 치료를 통해 무릎 관절염환자들의 염증과 통증 완화, 기능 개선 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보건복지부로부터 신의료 기술로 인정받아 안정성과 유효성을 인증 받았다.관절경을 이용한 치료는 컴퓨터 촬영(CT)이나 자기공명 촬영(MRI)로 파악되지 않는 부분까지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관절경 수술은 무릎을 포함한 모든 관절 부위에 적용되는 치료방법으로 관절 내시경이라는(5㎜ 직경의 가늘고 긴 관절경이 있는) 특수 장비를 환부에 삽입해 해당 부위를 확대 관찰하며 치료하는 수술법이다. 무릎에 시행하는 관절경은 무릎에 0.5cm 이하의 구멍을 내어 카메라가 장착된 관절경(관절내시경)을 무릎관절 속에 넣어 정확한 손상 부위를 찾아 낸 후 손상 부위의 수술을 진행한다. 피부를 절개하는 수술에 비해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석고 고정이 필요 없으며 입원 기간도 짧고 수술 부위의 흉터가 거의 남지 않아 최근 주로 사용되는 수술법이다. 원장은 “무릎 관절 손상이 의심된다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은데,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은 의료진의 경험과 임상 경험에 따라 경과가 크게 달라진다”며 “손상 부위의 조직을 얼마만큼 제거하고 정상 조직을 보존하는 등에 대한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므로 반드시 임상 경력이 풍부한 전문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안상준 ansang@viva100.com통상 퇴행성관절염은 65세 이상의 고령층에게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통계를 살펴보면 65세 미만의 젊은 환자도 무려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0~50대 환자들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서울예스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왼쪽)이무릎 관절경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예스병원)

KIST 연구진, 에너지 저장능력 향상 섬유형 전극 소재 개발

류용환 2024-04-07 12:00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전북분원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공동 연구팀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섬유형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탄소나노튜브 섬유는 유연하고 가벼우며 뛰어난 기계·전기적 특성을 보유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초소재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비표면적이 작고 전기화학 활성이 부족해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집전체로만 이용하고, 표면에 활성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KIST 공동 연구팀은 파우더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산처리해 개질하고 섬유화함으로써 전기화학 활성과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춘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개발했다.개질된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일반 탄소나노튜브 섬유 대비 에너지 저장능력이 33배 늘었고 기계적 강도는 3.3배, 전기 전도도는 1.3배 이상 증가했다.섬유형 슈퍼 커패시터로 제작해 테스트한 결과, 매듭을 지었을 때 100%에 가까운 성능이 유지되고 5000번 구부림 테스트를 거친 후에도 95%의 성능을 유지했다.KIST 전북분원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김승민 박사는 “최근 이차전지의 도전재로 활용되며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한 탄소나노튜브가 훨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KIST 박사(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는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우리가 보유한 원천기술과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크지 않아 경쟁력이 있는 분야”라며 “비정형 에너지 저장 핵심 소재로 응용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전했다.이번 연구는 KIST 주요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선도연구센터사업,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산업핵심기술개발 사업, 현대자동차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류용환 fkxpfm@viva100.com기능화된 탄소나노트브의 물성과 전기화학 활성도. (자료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