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우리은행, 차라리 정부 소유로 유지하는 것이 방법일수도"

입력 2015-07-15 18:21

 

우리은행

 

 

정부가 우리은행 민영화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그러나 매각전망은 불투명하다. 이에 업계 및 전문가들은 금융질서 혼란을 예방하기 위한 금융지주에 판매하는 방안은 물론 아예 매각방침을 잠정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는 13일 우리은행 매각 관련 간담회를 열고 우리은행 매수 후보자 점검 및 매각방안을 논의했으나 마땅한 대책 없이 이달 중 매각 방안을 발표하기로 한 데 그쳤다.

우리은행에 관심을 보이는 곳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외국 몇몇 사모펀드만이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금융기업에 매각하는 방안도 나왔다. 우리은행에 대한 관심이 줄고 있는 만큼 저렴한 가격에 인수할 만한 기업과 M&A를 타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권에서는 교보생명 등이 거론되고 있다.

교보생명은 우리은행 인수시 1금융권에 진출할 수 있다. 그러나 교보생명이 인수시 오너 은행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문제로 일각에서는 차라리 우리은행 매각 방침을 철회하는 게 낫다고 강조했다. 매각 이슈로 우리은행의 가치를 떨어뜨리기만 하느니 정부 은행으로 키우는 게 낫다는 것이다.

더욱이 우리은행에 투입된 공적자금 12조8000억원 중 회수하지 못한 4조7000억원을 얻으려면 주가가 주당 1만3500원은 돼야 한다. 그러나 우리은행 주가는 15일 현재 8930원이다. 때문에 매각시 정부는 헐값매각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

우리은행의 기업가치에 대한 전망은 어둡다. 우리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 등 알짜 자회사들을 모두 매각했고, 이로 인해 복합점포 등 금융시장에서 타 금융사와의 경쟁에서 대등히 싸우기 힘들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은행이 관심이 줄어든 이유는 매각 이슈로 영업력이 약화되는 등 경쟁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라며 “인수해도 성장을 위한 자본 투자가 필요해 수익보다 비용이 더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싼 가격에 매각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공적자금 회수에 대한 부담을 버리고 싸게 팔거나 아니면 매각 자체를 철회하고 정부가 대주주인 상업은행으로 가는 것이 오히려 기업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유승열 기자 ysy@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