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우리은행 민영화 4번의 실패, 왜?

입력 2015-07-21 12:34

우리은행 매각방안 밝히는 박상용 공자위원장<YONHAP NO-1505>
박상용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이 21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 금융위원회 기자실에서 우리은행 매각방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연합)

 

정부가 우리은행의 5번째 민영화 방침을 밝혔다. 이에 금융권 안팎에서는 그동안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들이 무엇이 있었는지, 왜 실패했는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2001년 설립된 우리금융지주는 부실화된 금융사들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을 합병한 한빛은행과 평화·광주·경남은행을 우리금융에 편입시키고 한빛은행을 평화은행과 합병 후 우리은행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예금보험공사 채권을 발행, 우리금융에 공적자금 12조8000억원을 투입해 지분 100%를 갖게 됐다.

이후 정부는 공모와 블록세일(지분 대량 분산매각) 등을 통해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지분을 매각했다. 현재 예보의 우리은행 지분은 51.04%다.

그러나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네 차례 시도한 우리은행 민영화는 잇따라 실패했다.

2010년 첫 시도에서는 무려 23곳의 인수 후보가 등장했다. 그러나 대부분이 자격을 갖추지 못했고,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던 ‘우리금융 컨소시엄’은 불참을 선언해 매각 작업이 중단됐다.

2011년과 2012년에는 일괄 매각 방식으로 연달아 민영화를 추진했다.

2011년에는 산은금융지주가, 2012년에는 KB금융지주가 각각 유력 후보로 거론됐지만 ‘관치금융 논란’ 등이 불거지면서 무산됐다.

이후 정부는 우리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 등 계열사들을 패키지로 묶어 분리 매각했다. 자회사들로 인해 덩치가 너무 커 인수여력이 있는 기업이 너무 없다는 이유에서다. 때문에 자회사들을 경쟁력 있는 기업과 경쟁력이 미흡한 기업을 서로 묶어 적정한 가격에 패키지로 매각한 것이다.

지난해 우리은행의 경영권 지분과 소수지분을 따로 매각하는 ‘투트랙’ 방식으로 네 번째 도전에 나섰다.

소수 지분은 일부 매각했지만, 경영권 지분 경쟁입찰에서 중국의 안방(安邦)보험 한 곳만 응찰했고, 교보생명은 인수의지를 꺾어 경쟁입찰이 성립되지 않아 무산됐다.

유승열 기자 ysy@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