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윤리경영'으로 재무장 기업신뢰부터 회복하자

[윤리경영 기본으로 돌아가자]

입력 2016-09-27 07:00

페이스북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마크 저커버그의 연봉이 1달러라고 해서 화제가 된 적 있다. 저커버그는 그 이유에 대해 “우리는 돈을 벌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했다.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 회장은 생전에 “돈을 벌겠다는 사람이 국가관과 사회관이 없으면 기업인이 아니다”라고 했고,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 회장도 “가장 큰 회사보다 가장 깨끗한 회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88

기업의 역할과 존재이유가 달라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이윤극대화 추구를 넘은 그 이상의 무엇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의 갭(gap)은 크다. 가습기 살균제 파동, 배출가스 조작 파문, 사회지도층 인사의 일탈, 일부 오너들의 모럴해저드, 침몰하는 회사 돈을 챙겨 ‘먹튀’한 경영진들, 형제간의 경영권 분쟁…. 잊을 만하면 터지는 이 같은 기업뉴스들로 기업의 신뢰는 나락으로 떨어졌다. 국감장에 왜 애꿎은 기업인들만 부르느냐고 불평할 정도가 아니게됐다. 


사회지도층과 기업이 부패해지면 그 피해는 국민이 보게 된다. 부패는 경제성장을 저해한다. 

 

국제투명성기구(TI)는 청렴도가 1포인트 증가할 때 경제성장률이 0.5%포인트 가량 상승한다고 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조사한 국내 기업 호감지수는 100점 만점에 44.7점이다. 

 

또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발표한 ‘2016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은 조사대상 61개국 가운데 29위다. 

 

그 중 경영관행은 61위로 꼴찌,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은 60위, 기업윤리 실천정도는 58위에 랭크됐다. 참담한 성적표다. 

 

29


우리 경제의 시계가 여전히 안개 속이다.

 

어려울수록 ‘기본’(basic)으로 돌아가라는 말이 있다. 그 기본은 제품 품질과 성능에 찾을 것이 아니라 ‘윤리경영’에서 찾아야 한다.

공교롭게도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김영란법)이 28일 시행에 들어간다. 물론 이 법 시행과 기업의 윤리경영은 별개로 봐야 한다. 

 

그렇지만 법이 사회적 통념과 상식의 총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 법 시행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한 번쯤은 되새겨 볼이다. 

 

잘못된 관행을 뜯어고치는 ‘정화제’가 될지 아니면 불황의 늪으로 빠트릴 ‘태풍’이 될지는 예단하기 힘들다. 

 

분명한 것은 이 법이 그동안의 거센 반대 속에서도 말라죽지 않고 생명을 부여받았다는 점이다. 그만큼 청렴사회를 향한 국민적 공감대가 두터웠던 것이다. 

 

‘윤리경영’은 멀리 있지 않다. ‘바로 지금, 나부터’라는 생각이 일상화될 때 가능해진다.

 

박운석 산업부장 pen@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