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한국지엠 실사 이번 주중 개시···현안은?

입력 2018-02-25 15:57
신문게재 2018-02-26 3면

2018022601020014715
이낙연 국무총리(오른쪽 두번째)가 24일 오후 관계부처 차관들과 함께 전북 군산시 소룡동 자동차융합기술원에서 열린 '군산지역 지원대책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대화하고 있다.(연합)

 

한국지엠 회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경영실사’가 이번 주중 개시된다. 경영실사는 정부가 공적자금 투입의 전제조건으로 삼고 있는 만큼 산업은행과 GM의 신경전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한국지엠 회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신차배정 및 폐쇄된 군산공장의 제3자 매각 방안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2대 주주 산은 “GM, 더 이상 ‘영업기밀’ 꼼수 안 된다”

산업은행은 25일 한국지엠 처리 인력을 추가하기 위해 대응조직을 기존 투자관리실 한 개팀에서 TF로 확대 개편한다고 밝혔다. 그만큼 한국지엠 경영실사를 단단히 벼르고 있다는 방증이다. 산은이 17.02%의 지분을 갖고 있어 한국지엠 2대 주주지만 그동안 법으로 보장된 경영 감사는 매번 ‘영업기밀’을 명분으로 한 GM의 방해로 번번히 무산됐다. 반면 이번에는 GM이 5000억원 이상의 정부 공적자금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라도 정부와 산은 측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할 수밖에 없다. 정부와 산은 측은 실사 합의서에 구속력이 있는 자료요청 권한을 부여하고, GM 측에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충실하게 받겠다’는 문구도 담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산은이 요청하는 자료를 GM 측이 제대로 제공하지 않아 지원이 무산될 경우 ‘GM에 책임이 있다’는 점도 명시하기로 했다. 



◇ ‘신차배정’ 경영실사 이후로 밀리나

한국지엠 회생에 영향을 미칠 ‘신차 배정’도 3월 초부터 시작된다. GM이 한국지엠 이사회에서 7000억원의 채권을 회수 보류(실사 기간까지)하고, 부평공장 담보 요구를 철회하면서 당분간 자금 압박은 벗어났지만 인천과 창원 공장을 살리기 위한 2대의 신차 배정이 불발될 경우, 이들 공장마저도 2~3년 뒤 완전히 멈춰 설 수 있다. GM은 신차배정 조건으로 한국지엠 구조조정과 인건비 절감,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을 요구했다. 하지만 공적자금 투입이 경영실사 이후로 미뤄진만큼 한국지엠의 자구안에 따라 신차 배정 여부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지엠은 군산공장 폐쇄로 3000억원의 비용을 절감했고, 노조와의 임단협을 통해 추가로 3000억여원을 절감한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GM이 3월 초가 아닌 경영실사 이후로 신차 배정을 미룰 수 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신차배정을 확약할 경우 공적자금 투입에 불리한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외에 신차배정을 우선 확정한 뒤,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여부에 따라 입장을 번복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군산공장 제3자 매각 타진…관건은 고임금 구조

GM이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를 번복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하면서 침체된 군산경제를 살리고, 실직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을 꾀하는 일이 숙제로 남겨진다. GM은 군산공장을 폐쇄하며 “인수 의향자가 있다면 협상하겠다”며 제3자 매각 가능성을 열어뒀다. 업계는 군산공장 매각이 진행될 경우 근로자가 포함된 패키지 매각은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지엠의 고임금 구조가 인수자에게 큰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성사 가능성은 기존 임금을 70% 이하로 낮추는 경우다. 이 외에 공장과 토지 등을 분리 매각하는 방안도 제시된다. 인수대상 기업으로는 현대·기아차와 자동차 전장 및 커넥티드 사업을 확장하는 삼성전자, LG전자, SK 등이 거론된다. 이 중 현대·기아차는 고임금 구조라 성사 가능성이 낮다. 해외에서는 ‘쌍용차 기술먹튀’ 논란이 있는 GM 중국 법인 상하이차도 언급된다. 정부 주도 회생 방안도 남아있다. 호주에서 GM은 2013년 말 경영부진으로 3년 시한을 두고 철수했다. 당시 공장 근로자는 1600명으로, 호주 정부는 직원들이 새로운 일터를 찾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매각 대상을 물색했고, 올초 영국업체가 공장을 인수해 전기차 생산기지로 조성하고 있다. 이 밖에 특화 산업기지나 중견·중소기업 지원 시설로 활용하는 방안도 있다.


이재훈 기자 yes@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