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G2(미국·중국) 무역전쟁의 장기화·확산 가능성에 대한 1단계 조치로서 민관합동 대응체제의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먼저 이번 관세부과 조치로 인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업종별 파급효과 △대중국 투자기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산업연구원 및 업종별 협·단체가 공동으로 분석에 착수했다. 코트라(KOTRA)와 한국무역협회 등 수출지원기관은 해외 주요 수출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주요 바이어 동향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수출 대체선 발굴 등 필요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향후 중국의 대응방향 및 미-중 간 무역분쟁 전개상황에 따른 시나리오별 대응방안도 마련 중에 있다.
이어 산업부는 민관합동 대응의 일환으로 오는 12일 강성천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 주재로 미-중 무역분쟁관련 실물경제 대응반 회의와 미국 자동차 232조 관련 민관합동 TF회의를 연이어 개최할 예정이다.
한편 13일에는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관계부처 회의를 개최, 미-중 무역분쟁 심화에 따른 범부처 대응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정길준 기자 alfie@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