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개미투자자 공매도 비중 ‘확대’…기울어진 운동장 바로잡을까

공매도 개인 비중 0.7%…외국인·기관 각각 69.4%, 29.9%
금융당국 “대여가능 주식 넓히기…개인투자자 참여 확대 고민”

입력 2018-10-21 13:30

그래프
국내 주식 공매도 시장에서 ‘개미투자자’로 일컬어지는 개인투자자의 비중이 외국인·기관투자자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상황에 최근 금융당국이 공매도시장에 대한 개인투자자 참여 확대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히면서 증권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21일 한국거래소 공매도 종합 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간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88조1261억원으로, 이 가운데 개인 거래대금은 4307억원(0.5%)에 불과했다. 반면, 외국인투자자의 거래 비중은 68.2%, 기관투자자는 31.3%였다.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의 공매도 거래대금(32조746억원) 중 개인 거래대금은 3632억원으로 1.1%에 그쳤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2.5%, 26.3%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친 전체 공매도 거래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0.7%에 머물렀다. 외국인의 비중은 69.4%였으며 기관은 29.9%였다.

특히, 이달 들어 코스피지수가 8% 넘게 급락하면서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는 공매도를 통해 5조원 가까이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공매도란 ‘없는 주식이나 채권을 파는 것’으로, 예를 들어 투자자가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증권사 등으로부터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떨어지면 주식을 새로 사서 빌린 주식을 갚는 방식이다. 그래서 급락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어, 주로 약세장에서 시세차익을 노리고 활용돼 왔다.

공매도 시장은 정보력과 자금이 필요한 탓에 기관이나 외국인이 주로 이용해왔다. 개인의 경우 직접 공매도를 하려면 대주거래를 해야 하는데, 종목과 물량이 매우 제한적이고 기간도 60일 밖에 되지 않아 전체 공매도 거래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가 채 되지 않는다. 사실상 개인은 시장이 있어도 이용하지 못한 셈이다.

지난 4월 삼성증권의 배당 착오 사태로 삼성증권 주가가 폭락했을 때 기관투자자와 외국인들이 대거 삼성증권 주식 공매도에 나서 4거래일 만에 8%의 차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되기도 했다.

이 같은 이유로 공매도 시장은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공매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게시글이 2000건 넘게 올라와있다.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를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꼽으며, 공매도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금융위는 그간 공매도 제도가 하락장에서 증시 유동성을 높이고 제 가격을 빠르게 찾아주는 순기능이 있었다면서 폐지보다는 ‘개선’ 입장을 보였다.

지난 15일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기자간담회에서 “(공매도는) 기관이나 외국인보다 개인 투자자가 불리할 수밖에 없는 ‘기울어진 운동장’이어서 시장 투명성을 더욱 높이고 투자자 간 참여 형평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있었다”며 “개인이 공매도 시장에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 당국은 개인이 기관이나 외국인처럼 공매도을 쉽게 쓸 수 있게 하려면 개인이 주식을 쉽게 빌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방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공매도는 제도 자체가 기관이나 외국인 등 신용도가 높은 차입자에게 유리한 면이 있어, 제도를 아무리 공평하게 설계해도 실제 이용 면에서 차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점은 한계점으로 꼽힌다.


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