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中企, 경제특구·先평양後지방 전략으로 북한진출 노려라

중기중앙회·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남북경협 투자설명회 개최
시장경제 이해 부족해 능률저하 발생 지적도

입력 2018-11-12 17:17
신문게재 2018-11-13 5면

중기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북한진출 어떻게 해야하나’를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부소장이 북한진출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유승호 기자)

 

남북경협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이 북한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선(先)평양 후(後)지방 진출 전략을 펼쳐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소기업중앙회와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는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 북한진출 어떻게 해야하나’를 주제로 남북경협 투자설명회를 개최했다.

먼저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부소장은 북한 경제특구 진출 전략으로 경제특구 분석, 진출아이템, 진출환경 진단, 목적, 기업간 공동진출 전략 모색 등을 제시했다.

조 부소장에 따르면 현재 북한의 경제특구는 경제특구 5개, 중앙급 경제특구 6개, 지방급 경제개발구 17개 등 단일, 복합형태로 구분됐다. 이에 조 부소장은 진출 경제특구 선정과 진출 환경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조 부소장은 “경제 특구 선정시 인프라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고 투자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는 입지를 선정해야한다”며 “입지여건 및 진출지역의 경제성, 시장접근 가능성 등을 면밀하게 분석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북한에 진출할 때 환경에 대한 분석을 해야 하는 지금부터라도 진출환경을 분석해야한다”며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사업 여건이 취약하고 북한 관료 및 주민들이 시장 경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능률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특히 이날 국내 중소기업이 북한에 진출할 때 먼저 평양과 남포에 진출한 뒤 지방에 진출하는 게 좋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또 화장품, 제약, 전자기계 등 가볍고 작은 경박단소형 산업을 먼저 진출한 뒤 조선, 자동차, 화학 등 중후장대형 산업이 진출하는 것이 좋다는 주장도 나왔다.

조영서 한라대 기초교육원 교수는 “평양은 고급인력이 많다는 장점이 있고 지방은 땅값이 싸 대규모 공장을 설립할 수 있어 북에 진출하면 본사를 평양에 설립하고 지방에는 생산 공장이나 지사를 설립해야한다”며 “평양의 고급인력과 함께 북한 진출 전략을 준비하고 난 뒤 이들을 데리고 지방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남북경제공동체 구축을 대비해 남북교류협력법, 남북협력기금법, 개성공업지구지원법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됐다.

유승호 기자 peter@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