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사설] ‘일본 제품 불매운동’ 66.8% 민심 잘 담아내자

입력 2019-07-11 14:57
신문게재 2019-07-12 19면

일본 정부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 등 수출 규제에 민심은 대체로 둘로 반응한다. 국민 다수는 관계 회복보다 범국가적 불매운동을 하자는 쪽에 더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현재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거의 절반(48%)이 참여하며 10명 중 7명(66.8%)에 가까운 국민이 앞으로 불매운동에 동참하겠다고 했다. 리얼미터가 교통방송 의뢰로 전국 성인 501명을 조사한 결과다. 일본의 부당한 수출 규제에 맞서 일본 상품 불매운동으로 번지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고 건전한 국민적 대응이라고 본다.



역사를 반성할 줄 모르고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해 정치 목적의 경제보복, 그것도 비열하게 가장 아픈 급소 세 곳을 공격당하니 불매운동으로 저력을 보여주자는 것이 소비자인 국민의 충청이다. 불매운동으로 맞대응하면 한국 피해가 훨씬 커진다는 사실을 몰라서는 아닐 것이다. 피해 액수나 계산하고 앉아 있는 부작위가 능사는 아니다. 일각에서 의병운동이나 국채보상운동 등 비장감이 뚝뚝 듣는 역사까지 소환하는 것에도 충분히 공감한다.

그런데 선택과 결정에서는 다르다. 감정적 대응이 미칠 파장까지 길게 내다보지 않을 수 없다. 불매운동을 해도 일시적 소비량 감소에 그치고 경제 타격에까지 이르진 못한다. 일본 내 독점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대체 효과가 높은 품목이 많다. 그리고 현실은 냉엄하다. 반도체 소재가 30% 부족해지면 국내총생산(GDP) 손실 폭이 한국은 2.2%인데 일본은 0.04%로 미미하다는 분석도 있다. 그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 한·일 양국은 영원히 앙숙 관계가 아닌, 돌이킬 수 있는 가역적인 관계라는 점이다. 손상된 관계를 복구하는 해법을 끝까지 찾고 관계성을 돌보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반일감정으로 풀릴 사안이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미리 대비할 것도 있다. 1100여 개 품목으로 규제 대상이 되는 비(非) 백색국가가 될 경우다. 반일 감정이 격화되고 부메랑처럼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타격과 국민 피해로 돌아오면 지금 최선이라고 믿는 것들이 실상 차선책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본이 막다른 길을 걷지만 우리는 같은 길을 걷지 않고 적극적인 외교 해법의 대로로 나가는 게 최선이다. 이 기회에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무역질서에 반해 소아적 이기주의를 고집하는 근원을 다각도로 헤집어볼 필요는 있다.

보복이 보복을 부르는 악순환의 고리는 피하면서 불매운동 여론조사에 비친 국민의 소중한 의지를 지혜롭게 잘 담아내고 활용해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