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변인은 19일 배포한‘교육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다’라는 제목의 입장문에서 “학생인권 증진 노력에 대해 사회주의 정책이라고 하고, 입시 위주의 사교육과 비인간적인 경쟁교육을 완화하려는 교육정책을 사회주의 좌파 파시스트 정책이라고 비난하는 수준의 말은 선진국의 문턱에 있는 한국의 품격을 생각한다면 이제 자제하여야 할 정치적 막말”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학벌에 의해 인생이 결정되는 승자 독식 사회의 심각성과 이를 위해 맹목적으로 교육에 뛰어들어 경쟁의 압박에 시달리는 학생들이 이의원은 보이지 않는가?”라며 “이 의원처럼 사사로운 개인의 이익을 위해 교육을 도구로 삼는 정치 논리는 우리 교육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진정 모르는가?”라고 자성을 촉구했다.
또 김 대변인은 “이 의원은 이렇게 막말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있다면 오히려 자사고 문제뿐만 아니라 대학 서열화와 입시 문제 등 우리사회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 깊이 있는 이해부터 하기 바란다.”고 주문하며 “이 의원의 얄팍한 도움 없이도 교육은 충분히 자체적으로 길을 개척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아직 이런 정치적 막말이 횡행하는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김동홍 기자 khw090928@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