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사설] 환율 1200원대 고착화, 쉽게 봐선 안 된다

입력 2019-08-05 13:56
신문게재 2019-08-06 19면

코스피, 코스닥이 급락하고 환율이 급등하는 등 금융시장까지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블랙 먼데이’로까지 명명된 5일 원·달러 환율은 2년 7개월 만에 1200원대로 치솟았다. 대내외 악재에 원화 가치가 가파르게 추락한 결과다. 복합 원인이 있지만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와 미국의 대중국 추가 관세 부과 방침으로 위험회피 심리가 극대화했을 수 있다. 향후 전개 방향과 금융시장 동태에 외환당국이 긴장하면서 경계를 강화해야 하겠다.

우리가 주목할 점은 악재가 겹칠수록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원화 값이 가파르게 상승한다는 원리다. 5일 거래 시작 시점의 원·달러 환율이 전일 종가보다 5.6원 오른 달러당 1203.6원으로 수직 돌파한 것도 이런저런 역외 움직임의 반영으로 봐야 한다. 외국인 자금 이탈 등 급격한 환율 변동에 따른 부작용이 걱정되는 이유다. 일본 2차 무역보복 요인이 선반영됐다고 보는 것은 어느 정도까지다. 수출에 도움이 된다는 식의 단선적인 사고도 버려야 한다. 환율 상승(원화 약세)은 등락을 거치되 단기적이지 않고 지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예단해서 불안해하지 말라지만 이건 간단하지 않다.

이 경우, 먹이사슬 꼭대기에 있는 달러 중심의 안전자산 선호 현상은 우리가 어찌할 수는 없다. 그러면서도 환율 오름세에 당국이 개입할 지점이 있다. 이대로 두면 기업 실적뿐 아니라 중간재 수출 위주인 한국 경제에 점점 비우호적이 된다. 심리적 마지노선인 1200원을 일단 넘어선 만큼 외국인 자금 유출을 피하지 못한다. 그 징후가 지금 주식시장에서 나타난다. 신흥국 통화 취급을 받는 원화의 약세는 중국, 남아공, 러시아에 비해 하락 폭이 컸다. 미국 연방기준금리 인하 이후 달러화 약세 유도 정책과 ‘환율전쟁’에 대비해야 한다. 달러당 위안화가 7위안을 넘는 ‘포치(破七)’까지 이날 현실화된 것 역시 악재다.

이쯤 되면 조심할 것이 있다. 바로 국내 금융시장에서 원화 환율과 주식, 채권이 동반 하락하는 트리플 약세다. 간과해서 안 될 또 한 가지는 엔화와 달러가 전통적인 안전자산이라는 점이다. 트럼프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 등에 맞서 원화 강세를 유도할 처지는 물론 아니다. 여기에다 원화 약세 재료가 수두룩해 지금 모멘텀은 당분간 이어진다. 이러한 강달러 기조 속의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특히 원·달러 환율의 1200원대 고착화 가능성에 주목할 때다. 국내외 금리 차, 국제 수지 등을 고려하면서 적정 수준의 환율 유지 정책을 펴나가야 한다. 효과가 작다고 흐름에만 맡겨선 안 된다.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