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코로나19 이후 식량 안보 위기 우려 확대 우려”

입력 2020-05-20 08:46

코로나19 이후 식품의 수요와 공급이 큰 변화를 겪음에 따라 국내외 농업부문도 적지 않은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국제물류시스템 중단이 장기화될 경우 식량안보 위기 우려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로 식품의 수요와 공급이 큰 변화를 겪고 있는 가운데 향후 농업분야 변화를 전망하고 대비책을 모색하기 위해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농업, 무엇을 대비해야 하나?'를 발간했다. 

 

이 발간물에서는 농업부문 일자리 창출, 농가소득 안정책 마련, 농산물꾸러미 사업 유지 및 개선 등 코로나19 이후 농업분야에서의 공공역할 강화를 제안했다.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는 식량안보 문제 외에도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식품 가격 상승, 공공급식 중단으로 취약계층 먹거리 문제 심화, 이주노동자 입국 지연으로 농업부문 생산 차질 등 식량 공급망 위험요인에 직면한 상황이다.

보고서는 국내 농업 역시 이와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음을 감안해 재택수업 장기화에 따른 배달 중심의 공공급식 개편, 외식소비심리 위축과 식품 소비패턴 변화, 도시 실업자 문제 관련 농업부문의 사회적 완충기능 요구 증대 등을 제시했다.

 

식량 안보와 관련해서는 자급률이 낮은 일부 곡물을 중심으로 이 같은 위험 가능성이 확대됐다고 보고 있다. 2020년 한국의 국가식량안보지수 추정치는 안정적인 상황이나, 러시아 등 주요 농산물 수출국의 수출 금지조치가 확대되고 국제물류시스템 중단이 지속될 경우 국제 곡물 가격이 폭등하고, 이는 국내 식량안보 불안 요인으로 확대될 수 있다.

이미 국내 농가는 학교급식 중단으로 농산물 판로가 막혀 많은 피해를 입고 잇다. 친환경농산물의 유통구조를 고려할 때 학교급식 납품용 외에는 시장 개척에 한계가 있어 대체 시장 발굴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밖에 코로나19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가 제때 입국하지 못함에 따라 농번기를 맞은 국내 농가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5월과 6월 농번기를 맞이하여 사과, 배 등 과수와 배추, 마늘, 양파 등 노지채소를 중심으로 영농차질은 불가피하다.

김용준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발생한 도시의 한시적 실업인구를 농업부문의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로 포용할 것”을 제안했다

 

김 연구원은 또  “코로나19 이후 생산농가 판매 지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농산물꾸러미 사업은 농업분야의 위기 상황을 고려해 당분간 지속해야 한다”면서, 코로나19로 인해 대두된 온라인 식품 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기존 농산물꾸러미 사업을 반조리식 밀키트 형태로 개선 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

경기=이성재 기자 gado444@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