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4월 격랑 속 한반도…‘평화냐 긴장이냐’ 갈림길

입력 2019-04-03 15:05
신문게재 2019-04-04 4면

문재인 대통령, 노영민 비서실장과 함께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청와대에서 열린 경제계 원로 초청 오찬 간담회에 참석하기 위해 노영민 비서실장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연합)

 

4월 한 달이 한반도 정세를 가르는 중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대내외의 굵직한 이벤트가 열릴 예정이어서 결과에 따라 현재까지 이어오던 흐름이 뒤바뀔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한반도가 ‘격랑의 4월’의 중심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우선 4월은 남북관계로만 봤을 때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처음으로 마주했던 1차 남북정상회담 1주년이 되는 달이다. 문 대통령은 1차 남북회담으로 시작된 남북간, 북미간 대화무드가 끊어지지 않고 지속되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보일 예정이다. 오는 11일(현지시간)로 예정된 한미정상회담 의제 조율을 위해 방미 했던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귀국하는 즉시 청와대와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 대북관련 부처가 한 자리에 보여 방미 결과를 공유하고 추후 행보에 나설 전망이다. 이 일환으로 대북특사가 가동될 가능성도 높다. 방미 당시 김 차장이 대북특사와 관련해 기자들의 질문에 긍정적 답변을 하면서 미국과 먼저 조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美공화당행사 연설하는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공화당의회위원회(NRCC) 춘계 만찬에서 연설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베트남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당신은 합의할 준비가 안 돼 있다”(You‘re not ready for a deal)고 말했다며 “그에게 누군가 그런 말을 하고 떠난 것은 처음”이라고 덧붙였다. (연합)

 

김 차장이 미국 측과 논의하면서 대북특사 파견에 대한 동의를 구했고, 미국이 이에 호응했다면, 한미 정상간의 회담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대북특사를 파견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의 주된 목적이 비핵화 협상을 위한 북미간의 대화 재개를 위한 방법 논의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기 때문이다. 북미 양국이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이렇다 할 재협상 국면을 만들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대북특사를 통해 전달된 메시지가 북측의 호응으로 이어진다면 북미 대화 재개에 청신호가 밝혀질 수 있다. 만약 한미 정상의 논의 끝에 만들어진 결과가 높은 수준의 결단이 필요한 사안이라면 지난해 5월 2차 남북정상회담처럼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판문점에서 다시 만나는 방식을 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 내부적으로도 4월은 정치 이벤트가 많은 달이다. 이달 초 열릴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시작으로 오는 11일 제14기 최고인민회의 첫 회의, 15일 북한 최대 기념일인 ‘태양절(김일성 주석의 생일)’, 25일 조선인민혁명군 창건기념일 행사가 잇따라 열린다.

또 이달 혹은 다음 달 중으로 김 위원장이 북-중, 북-러 수교 70주년을 맞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각각 정상회담을 가질 전망이다. 

김정은, 제5차 중대장·중대정치지도원대회 주재
사진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제5차 중대장·중대정치지도원 대회를 주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달 27일 보도한 모습. (연합)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공개 행보를 자제해왔던 김 위원장 이러한 정치 일정 속에서 ‘새로운 길’ 구상을 꺼낼지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지난 1월 신년사에서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미국이 일방적으로 제재·압박으로 나간다면 우리로서도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은 특히 4월에 한반도 정세를 뒤흔들 결정을 내려왔다. 지난 2012년 4월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2기 제5차 회의에서 국방위 제1위원장으로 추대됨과 동시에 (북한)헌법 서문에 ‘핵보유국’임을 명시했고, 같은 날 장거리 로켓 ‘은하 3호’를 발사해 주변국들을 긴장상태로 몰아넣었다. 또 2017년 4월 한 달 동안 미사일을 세 차례나 쏘아올렸다.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중지’ 결정과 남북정상회담이 이뤄진 것도 지난해 4월이었다.

올해 4월은 지난 10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통해 꾸려진 ‘김정은 2기 체제’가 공식 출범하고, 북미 간 협상이 교착에 빠진 상황이어서 북한이 내놓을 결단에 더욱 관심이 쏠린다. 앞서 지난달 15일 최선희 외무성 부상은 “우리 최고지도부가 곧 결심을 명백히 밝힐 것으로 보인다”고 말해 김 위원장의 입장 발표가 임박했음을 예고했다.

4월 한 달간 남북, 북미간의 행보가 ‘평화냐 긴장이냐’에 따라 한반도의 정세도 변곡점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장희 기자 mr.han777@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