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늘고 있는 외국인노동자 산재…언어 소통이 가장 큰 걸림돌

'건설, 안전으로 행복을 짓다' 기획
중대재해 외국인노동자 비중 11.6%→13.4% 상승세
주로 종사하는 영세 사업장 환경도 열악
모국어 교육 강화…정부·지자체 지원도 중요

입력 2023-11-05 13:38
신문게재 2023-11-06 13면

clip20231104113748
지난 8월 9일 붕괴 사고로 베트남 노동자 2명이 숨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한 경기도 안성시 공사현장(연합)

 

산업재해의 취약 분야 중 하나는 언어 소통의 문제 등이 있는 외국인노동자이다. 한국어가 서툰데다 충분한 안전교육이 부족하고 특히 열악한 소규모 사업장에 주로 근무해 외국인노동자 산재는 줄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고용노동부가 올해 1월 공개한 ‘외국인근로자의 산재현황 파악 및 제도개선 연구(한국고용복지연금연구원 수행)’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노동자 산업재해자는 매년 100명 내외가 발생하고 있다. 사업장 규모별 산업재해 발생은 상시근로자 30인 미만의 사업장이 78%, 5인 미만 사업장이 34%를 차지해 중소 규모 제조업, 건설업에서의 산업재해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외국인노동자 입국이 늘면서 산재도 늘고 있는 추세다. 고용허가제 도입쿼터는 2019·2020년 5만6000명, 2021년 5만2000명, 지난해 5만9000명에서 올해는 11만명으로 크게 늘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중대산업재해 사고사망자 가운데 외국인노동자 비중은 지난 2021년 11.6%에서 지난해 12.7%, 올해(8월) 13.4%로 높아지는 추세다. 특히 사업장 근무기간 1개월 이내 사고 비율은 내국인은 16.1%인 반면 외국인노동자는 26.8%(이 중 81.8%는 건설업종)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근로자의 산재현황 파악 및 제도개선 연구 보고서는 외국인노동자는 주로 유해위험 요인이 많고 작업환경이 열악한 5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낯선 환경과 언어소통 장애 등으로 재해예방 지식·정보의 습득에 한계가 있어 산재 발생 위험성이 큰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도 지적했듯 언어 소통의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로 꼽혔다. 이에 모국어를 통한 안전교육 강화와 함께 외국인노동자들이 주로 일하는 영세 사업장에 대한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안전장비 지원 등도 필요하다는 요구도 나오고 있다. 물론 사업장 자체의 안전한 근로환경 개선 노력도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조선업체가 다수 있는 특성상 외국인노동자도 많아 경남 지역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와 협업해 안전화·안전모·보안경 등 안전보호구 6종을 지원하는 사업 등을 진행한 경남도청 관계자도 언어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도청 관계자는 “현장에서 보기에 제일 큰 문제는 언어이다. 언어가 안 되니까 현장에서 교육도 제대로 할 수가 없고 교육이 제대로 안 되니까 작업하면서 계속 사고가 날 수밖에 없다”며 “안전교육을 해도 사실 언어 때문에 잘 안 된다. 영상을 보여주면 그나마 이해를 하는데 영세 사업장은 그런 영상으로 교육도 잘 안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용곤 한경국립대 교수(안전공학전공)는 “외국어로 된 교육 자료 제공과 전화 등을 통한 통역을 활용해 현장의 안전규칙을 확실하게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며 “안전에 대한 기본인식도 우리나라 근로자들보다 조금 낮을 수밖에 없어 교육을 잘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원배 기자 lwb21@viva100.com

이 기사는 안전보건공단의 안전문화 확산 공모사업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