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상장사 M&A 중 지배구조개편 위한 계열사 지분 절반 육박

입력 2019-11-12 14:58

20191112011176_AKR20191112069200008_01_i
(제공=금융감독원)

 

상장사들의 인수합병(M&A) 상대 중 계열사가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 등 비계열사나 해외 M&A에는 소극적인 모습이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상장사들의 M&A 거래 건수는 992건, 거래금액은 86조3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유형별로는 주식 양수도가 47.0%로 가장 많았고, 합병(28.1%), 분할(13.3%) 등이 뒤를 이었다.

시장별로는 유가증권시장이 30.8% 코스닥시장이 65.5%로 집계됐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48.3%), 비제조업(39.7%), 금융업(12.0%)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M&A 992건 중 분할(132건)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48건)을 제외한 812건 중 계열사 간 M&A가 402건으로 전체의 49.5%를 차지했다. 계열사 간 M&A는 통상 그룹 내 구조개편을 의미한다.

특히 자산총액이 5조원을 넘는 대기업 집단이 전체의 76.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해외기업을 상대로 한 M&A는 11% 수준에 그쳤다.

계열사 간 M&A 중 조직개편은 296건, 주식 양수도는 106건으로 조사됐다. 비계열사 간 M&A에서는 양수도가 395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조직개편은 15건에 그쳤다.

주식 양수도는 계약에 따라 경영권 확보에 필요한 지분만 거래할 수 있으나, 일부 지분 취득만으로 기업 인수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계열사 편입 후 합병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배주주와 소수주주간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M&A를 통해 우리 경제에 역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계열사가 아닌 외부기업을 상대로 한 M&A가 활성화돼야 하고, 특히 벤처기업 등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해 자금력과 노하우가 풍부한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향후 계열사간 합병 등 소수주주 보호가 중요한 M&A는 공시 심사를 강화하고, 지주회사 전환, 자발적 상장폐지 등의 위험을 보유한 M&A는 맞춤형 심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은혜 기자 chesed71@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