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미국 테이퍼링보다 유럽 통화정책 긴급 선회 가능성 주의해야"

입력 2021-12-14 16:08

2021110401000366800014711 (1)
테이퍼링 발표하는 파월 미 연준 의장 (AP=연합)
미국의 금리 인상 일정이 예상보다 당겨지는 것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유럽 통화정책의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는 것에 더 유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재빈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14일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한국금융연구원, 서울대 국제학연구소, SSK지원사업단이 공동 주최한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미국 금리 전망과 한국의 정책 과제’란 주제의 토론회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시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이지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하며면서, 문제는 유럽중앙은행(ECB)이 될 것이라고 지목했다.

안 교수는 “11월부터 시작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이후Fed의 금리 인상 시계가 빨라지고 있다”면서도 “2013년 ‘긴축발작’의 경험에서 연준은 충분한 시그널링을 통해 시장과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금융시장 혼란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긴축발작(테이퍼 탠트럼:taper tantrum)은 2013년 5월 당시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테이퍼링 언급만으로 신흥국 통화 가치와 주가가 급락한 현상을 말한다.

이어 안 교수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은 연준이 아니라 ECB의 통화정책 방향”이라며 “연준과 달리 ECB는 당분간 테이퍼링, 금리 인상 계획이 없다고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지만, 독일의 물가상승률이 근 30년래 최고치인 5.2%를 기록하는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ECB의 빠른 통화정책 정상화가 이뤄지면 금융시장의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ECB는 9월부터 팬데믹 긴급매입프로그램(PEPP) 매입 규모를 축소했음에도 이를 공식적으로 테이퍼링이라고 칭하지 않고 있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금리 정책과 선별적이고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의 조합을 통해 정책의 유효성을 키워야 한다”며 “물가·금융 안정을 위한 금리 인상과 취약부문·성장지원을 위한 선별적 통화정책 활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박성민 기자 smpark@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