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한경연 “高물가, 공급능력 확충하고 임금·환율 안정돼야 잡힌다”

인플레이션 요인별 영향력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소비자물가 영향력, 초과수요>노동비용>수입물가 順

입력 2022-09-02 06:00

화면 캡처 2022-09-01 173046

 

초과수요와 노동비용, 수입물가가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는 주요한 변수이므로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경제의 총공급능력을 확충하는 한편, 임금과 환율의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요인별 영향력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동안 주된 인플레이션 파급경로였던 ‘국제원자재 가격 고공행진→생산자물가 상승→소비자물가 상승’ 흐름은 완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4월 생산자·소비자물가간 이격률은 4.9%포인트에 달했으나, 3개월 후인 7월에는 2.9%포인트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한경연은 “이격률이 감소한 것은 그간의 수입물가 및 생산자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에 반영되기 시작했고, 이는 향후 소비자물가의 추가 상승 압력이 그만큼 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며 “소비자물가는 9월 중 고점을 찍고 둔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의 과잉유동성과 높은 임금 인상,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글로벌 공급망 교란 요인 등이 여전하므로 당분간 5~6%대의 고물가는 지속될 것으로 봤다.

 

화면 캡처 2022-09-01 173127

 

또한,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한경연 분석결과 초과수요, 단위 노동비용, 원화기준 수입물가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는 초과수요와 단위 노동비용, 원화기준 수입물가가 1%씩 증가할 때 각각 0.1%, 0.04%, 0.02% 늘었다. 한경연은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초과수요의 영향력이 노동비용의 2.5배, 수입물가의 5배에 이를 만큼 매우 큰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물가 잡으려면 총공급능력 확충하고 임금?환율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초과수요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이므로 규제 완화와 세부담 경감 등 경제활력 제고를 통해 경제의 총공급능력을 확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대책이라고 본 것이다. 다만, “공급능력 확충은 중장기적 과제이므로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진정을 통해 임금을 안정시키고, 무역수지 흑자 노력 등 환율안정으로 수입물가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국 경제는 주요 국제원자재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함에 따라 인플레이션 위협에 상시적으로 노출된 국가”라며 “경제 펀더멘털(기초 체력)과 성장잠재력을 강화하는 것이 물가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이므로 규제개혁과 감세, 노동유연성 제고 등 기업 활력제고에 진력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기태 기자 parkea11@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