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국내 금융기관 부실채권 지난해 15조원 이상 늘어”

입력 2024-03-28 18:47

빚 못 갚는 서민들…햇살론 대위변제율 급증
서울 명동거리에 붙은 대출 광고물. (사진=연합뉴스)

 

국내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이 작년에만 15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가 지속되고 경기회복이 부진하면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빚을 제때 상환하지 못하는 가계·기업이 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금융기관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은 지난해 말 43조7000억 원으로 2022년 말(28조1000억 원) 보다 15조6000억 원 증가했다.

업권별로 은행 부실채권은 2022년 말 10조1000억 원에서 지난해 말 12조5000억 원으로 23.8% 늘었다. 비은행은 동 같은 기간 18조원에서 31조2000억 원으로 큰 폭 증가했다. 비은행 업권 중 상호금융이 17조3000억 원으로 55.5% 비중을 차지했다. 저축은행(8조원, 25.6%)과 여전사(5조9000억 원, 18.9%)가 그 뒤를 이었다.

금융기관은 자산건전성 제고를 위해 부실채권 매·상각 규모를 2022년 중 13조4000억 원에서 2023년 중 24조3000억 원으로 확대했다. 2023년 중 은행의 부실채권 매·상각 규모는 9조1000억 원, 비은행권은 15조2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93.6%, 74.4% 증가했다.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도 지난해에 신규 부실채권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매·상각 규모도 늘어났다.

은행의 경우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상각뿐 아니라 부실채권(NPL) 시장을 통한 부실채권 매각에도 적극적이었다.

지난해 은행의 NPL 전문투자회사 등을 통한 부실채권 매각은 4조9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3조원 증가했다.

부실채권 대비 매각비율도 2020년~2022년 평균 13.8%에서 2023년 22.8%로 높아졌다.

통상 금융기관은 담보 여부, 회수 가능성 등을 고려해 부실채권의 매각 또는 상각 여부를 결정하는데, 매각은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적절한 시장가격으로 부실채권을 처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금융기관이 부실채권을 매·상각하면 동 채권이 재무상태표(B/S)에서 제외되면서 자산건전성 관련 지표가 개선된다. 지난해 은행의 경우 부실채권 매·상각으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을 0.35%포인트(상각 -0.16%p, 매각 -0.19%p) 정도 개선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부실채권 매각이 이뤄지는 NPL 시장에서 NPL전문투자회사들이 은행권의 선순위 우량담보부 대출채권을 선호하고 있는 점은 비은행 부실채권 매각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난해 중 NPL전문투자회사는 은행 담보부 부실채권 위주로 5조2000억 원을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NPL전문투자회사의 레버리지배율이 높아져(2022년 말 2.52배→2023년 9월말 3.44배) 여타 비은행권 부실채권에 대한 투자 여력이 축소됐다.

특히 최근 금융기관 전반의 부실채권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개인 무담보 연체채권이 늘어난 상황이다.

한은은 “금융기관은 적기에 부실채권 매·상각 등을 통해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과도하게 악화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NPL전문투자회사의 담보부 부실채권 선호현상을 완화함으로써 신용리스크가 증대된 상황에서도 비은행을 포함한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 연체자에 대한 과도한 추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소비자보호 문제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