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증권업계, ‘상생금융’ 상품이 많지 않은 이유는

입력 2024-08-27 13:21
신문게재 2024-08-28 9면

여의도 전경, 여의도 증권가 모습
서울 여의도 일대 증권가 모습. (사진=연합뉴스)

 

최근 일부 금융지주 계열의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상생금융’ 성격의 금융상품을 출시하고 있지만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지는 않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나증권과 신한투자증권 등 일부 대형 증권사들이 ‘상생금융’ 상품을 출시했다. 이들 증권사는 최근 청년층을 대상으로 우대수익률을 제공하는 RP(환매조건부채권) 상품들을 선보였다.

하나증권은 연 6%(세전)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하나 청년 적립식RP’를 다음 달 말까지 판매한다. 신한투자증권도 세전 연 7%의 우대수익률을 주는 ‘청년 동행 적립식 특판 RP’와 세전 최대 연 8% 우대수익률을 주는 ‘청년동행 SOLSOL한 해외주식 특판 외화RP’를 지난 3~4월에 판매했다.

이러한 상품들은 일정 금액한도 내에서 일반 RP 상품 대비 2배 높은 수준의 우대수익률을 제공했다.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려는 취지다.

해당 증권사 관계자들은 “금융지주에서 청년층과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상생금융 상품에 드라이브를 걸려고 한 것으로 안다”며 “금융지주들이 정부의 상생정책 기조에 좀 더 적극적으로 동참하려 하다 보니, 계열사도 상생에 관심이 많은 편”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증권업계 전체적으로는 상생금융 상품이 아직 생소한 상황이다. 이는 주로 고위험 투자 상품을 많이 취급하는 증권업의 특성과도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증권사에서 취급하는 상품 중에는 원금보장이 되지 않는 투자 상품이 많다”며 “취약계층이나 청년층에게 이러한 상품을 공급했을 때 수익률이 잘 나오는 경우도 있겠지만 손실로 이어진다면 문제가 될 수 있어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에서 강조하는 ‘상생금융’이 고금리 이자장사 논란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수수료 수익 중심의 증권업계를 동일한 잣대로 평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증권사들은 은행처럼 예대마진을 확보한 상태에서 취약계층 등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게 아니고, 투자자와 투자처를 연결하고 수수료 수익을 얻는 구조여서 상생금융 성격의 상품을 만들어내기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증권업계가 상생금융의 취지에 동참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업계가 전반적으로 상생금융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만큼 증권업계도 다양한 상생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청년층과 취약계층에게 적합한 저위험 상품을 개발하거나 금융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방안 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고, 금융당국도 증권사들이 상생금융 상품을 확대할 수 있도록 규제완화나 인센티브 제공 등 정책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