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지방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의 부족해 전원 빈번…수도권·지방 의료 격차 심각

지방, 의사수 5명 이하 진료과 절반 넘는 13개 센터 달해
김원이 “정부, 지방 의료 불균형 대책 마련에 최선 다해야”

입력 2021-10-11 12:07

윤석열 코로나19 방역수칙 위반 의혹 제기하는 ...<YONHAP NO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연합뉴스)
지방 권역응급의료센터 내 전문의 부족으로 중증응급환자를 치료하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전원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수도권과 지방 의료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6~지난해) 권역응급의료센터 중증응급환자 전원 현황에 따르면 전국 38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3대 중증응급환자(심근경색, 뇌졸중, 중증외상) 52만1499명 중 2만6848명이 전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병실 부족, 응급수술 불가로 전원하게 된 환자는 6899명(25.7%)였다. 전원 환자 4분의 1이 의료기관 사정으로 응급상황에서 다른 병원으로 옮겨진 것이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 이상 병원을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해 의료시설과 장비는 물론 충분한 의료인력으로 해당 권역 내 심근경색, 뇌졸중, 중증외상 환자 등 중증응급환자 치료를 위해 운영하고 있다. 전국에 38곳(수도권 14곳, 지방 24곳)이 있다.

김 의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역시 수도권-지방간 의료격차 문제가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 등 수도권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중증응급환자 전원 사유는 병실이나 중환자실 부족 등 시설부족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지방은 처치불가 사유가 대다수라는 것이다.

지난해 환자 전원율이 9.7%로 가장 높았던 전남은 전원 환자의 48.6%가 응급수술 및 처치불가·전문응급의료가 필요해 전원했다. 반면 서울의 경우 응급수술 및 처치불가·전문응급의료가 필요해 전원한 비율은 10.1%에 그쳤다.

지방은 의료인력 부족 문제도 심각했다. 의사들의 외래 및 입원 진료 등을 고려해 주 1회 당직을 기준으로 진료 가능한 진료과별 최소 전문의는 5명이다. 김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2020년 응급의료기관 주요 진료과 전문의 수를 제출 받아 확인한 결과 지방의 권역응급의료센터 중 주요 진료과 의사수가 5명 이하인 곳은 24개 센터 중 과반이 넘는 13개 센터에 달했다.

지난해 비수도권 권역응급의료센터 13곳에서 채우지 못한 전문의 수는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을 포함해 30개 진료과 총 52명에 이른다. 이 중 대학병원이 없는 지역의 5개 센터는 20개 진료과 총 37명의 전문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지방은 응급환자가 치료해줄 전문의가 없어 처치불가로 또다시 대도시 병원으로 옮겨져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며 “권역 내 응급환자를 책임진다고 하는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의가 없어 전원한다는 것은 심각한 의료공백을 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방에 살고 있다는 이유로 차별받지 않도록 정부는 지방 의료 불균형의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대책 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원배 기자 lwb21@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