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가계부채 '빨간불'上] "가계부채 터지면 외환위기보다 심각"

입력 2023-11-01 10:37
신문게재 2023-11-02 9면

5대은행
5대 은행 (사진= 각 사)


고금리 기조속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압박에도 대출 증가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현 가계부채 위기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지난 외환위기의 몇 십배 파괴력이 있을 것이라는 경계감도 나온다. 가계대출 증가 흐름과 문제점, 대책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은행의 가계대출 총 잔액은 684조7661억 원(27일 기준)이다. 전 월말(682조3294억 원) 보다 2조4366억 원 증가했다. 5대은행의 가계대출은 올해 들어 1월(-3조8858억 원)부터 2월(-3조1972억 원), 3월(-4조5899억 원), 4월(-3조3916억 원)까지 감소해오다 5월(1431억 원)부터 증가로 전환했다. 이후 6월(6332억 원), 7월(9755억 원), 8월(1조5912억 원), 9월(1조5174억 원) 등 증가폭이 확대됐다. 고금리 환경에서도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총 4조7246억 원 증가하며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담대는 10월중에도 2조1000여억 원 더 늘었다. 신용대출 잔액은 1월부터 9월까지 지속 감소하며 총 11조6398억 원 줄었으나, 10월에는 6000여억 원 늘어나 증가세로 전환했다. 

 

 

15

 

올해 주담대가 3조원 이상 늘어난 A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지속되면서 금리가 사실상 다 올랐다는 시장의 기대감, 은행권에서 하반기에 출시한 50년 주담대 등의 영향으로 집을 사려는 실수요뿐만 아니라 투자수요도 늘어난 것 같다”며 “금리가 4%대인 예금보다는 가상화폐 등 고수익·고위험을 추구하는 ‘영끌 빚투’(영혼까지 끌어모아 빚내서 투자)도 최근 신용대출 반등에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신용대출이 2조 원가량 상환된 B은행 관계자는 “차주들이 담보대출 보다 금리가 높은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은 상환한 반면 주담대는 하반기에 50년 주담대가 나오면서 많이 늘었다”고 전했다.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자 정부와 금융당국은 경계하고 있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 29일 “가계부채 위기가 발생하면 1997년 기업부채로 인해 우리가 겪었던 외환위기의 몇 십배 위력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충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최근 주요 은행 임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가계대출이 실수요자 위주로 적정 수준 공급될 수 있게 금융위원회와 함께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은행권 가계대출 현장점검 결과 후속조치 등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높이거나 우대금리를 낮추는 방식으로 금리를 올려 대출 수요억제에 나서고 있다.

신한은행은 1일부터 주담대 중 신규코픽스, 신잔액코픽스 기준(6개월 변동) 가산 금리를 0.05%포인트(p) 인상했다. 전세대출, 신용대출 상품 중 기준 금리 1년물 이하 상품 가산금리를 0.05%p 올렸다.

앞서 국민은행은 주담대 고정혼합형 금리와 변동형 금리를 각 0.1%p, 0.2%p 높였다. 전세대출 금리는 0.2%p 인상했다.

하나은행은 하나원큐 모바일 앱을 통한 비대면 대출상품인 하나원큐아파트론(혼합금리), 하나원큐주택담보대출(혼합금리) 상품의 상품별 금리감면율을 15bp 축소 조정했다.

우리은행은 주담대 5년 변동금리를 0.1%p 높였고, 그외 기준금리를 0.2%p 상향 조정했다. 전세대출 금리는 0.3%p 인상했다.

농협은행은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우대금리를 각 0.2%p, 0.3%p 축소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가계대출의 적정 포트폴리오 유지를 위해 금리운용 기준을 변경했다”고 전했다.

은행들이 금리를 올리고. 가계대출 태도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될지 주목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계대출 금리가 높은 수준이지만 주택거래 흐름에 따라 주택자금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은행 가계대출이 늘어나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며 “향후 주택경기 상황이나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여전히 지속될지 축소될지는 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