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美, 삼성·SK 등 HBM 중국 공급 통제 검토"…영향 크지 않을 듯

블룸버그 "최종 결정 내려진 건 아냐"

입력 2024-08-01 16:00

NVIDIA-CHINA/ <YONHAP NO-3897> (REUTERS)
(사진=연합뉴스)

 

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추가 통제 조치를 실시하며 HBM(고대역폭메모리)를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현재 글로벌 HBM 물량의 90% 이상을 국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담당하지만 국내 업계에도 미칠 영향은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국이 이르면 다음달 말 메모리 3사(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가 중국에 HBM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대중국 반도체 추가 통제 조치를 공개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익명의 소식통을 통해 “새 통제 조치는 중국 기업에 대한 HBM의 직접적인 판매를 차단하나 AI 가속기와 묶음으로 제공되는 반도체의 중국 판매가 허용될지는 불분명하다”면서도 “최종 결정이 내려진 것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을 쌓아 올린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다. 대역폭을 넓혀 데이터 간 이동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게 특징이다. GPU(그래픽처리장치) 등 AI반도체에 필수로 탑재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새로운 추가 조치로 HBM 카드를 꺼낸 것은 중국이 최근 HBM에 공격적인 투자, 개발에 나서고 있는 것에 대한 견제로 보고 있다.

중국은 지난 5월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기금 3단계를 출범시키고 3440억위안(약 65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기금의 대부분이 HBM 개발에 사용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1위 D램 기업인 CXMT(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가 칩 패키징 및 테스트 회사인 퉁푸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TFME)와 함께 샘플 HBM 칩을 개발했으며, 이를 고객사들에 시연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아직은 기술적 한계로 2세대 제품인 HBM2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HBM 시장은 4세대인 HBM3에서 5세대인 HBM3E로 넘어가는 단계다.

자체 기술 개발역량이 부족한 중국이 주요 업체들의 HBM을 통해 한계를 넘어서려 할 수도 있는 만큼 미국이 핵심 HBM 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 기업에 대한 직·간접적인 통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아직 새 조치가 구체적으로 나온 것은 아니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일단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직접 HBM을 중국 업체에 판매한다기보다는 엔비디아와 같은 빅테크 기업이 이들의 HBM을 토대로 중국용 AI 가속기를 만드는 것”이라며 “만약 미국의 추가 조치가 있더라도 직접적 피해는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AI 가속기인 H20 칩에 HBM3를 공급하고 있으며, H20 칩은 현재 중국 기업에 대한 판매가 허용된 상태로 알려졌다.

H20은 미국의 대중국 수출제한 강화 이후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을 겨냥해 만든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가운데 하나로, 중국 이외 시장에서 판매되는 H100보다는 연산 능력이 제한적이다.

제조사들이 직접적으로 중국 기업들에 HBM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엔비디아, AMD 등의 중국용 AI 가속기를 만들 때 탑재되기 때문에 완전히 영향을 피할 수 없고, 엔비디아나 AMD에 대한 수출 규제로 작용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HBM이 AI 가속기로 들어가는 과정은 통상 팹리스가 반도체를 설계하고, 메모리 업체가 HBM을 만들면 파운드리 업체가 패키징 작업을 해 최종적으로 엔비디아와 같은 업체로 공급되는 형태다.

이에 미국은 첨단 HBM이 중국 파운드리나 팹리스로 흘러가 AI 칩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용석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중국 하이실리콘과 SMIC가 주요 업체들의 HBM을 받아 이를 토대로 설계, 패키징, 생산에 나서 화웨이로 공급하는 그림이 나올 수도 있다”며 “이미 중국이 AI 가속기를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나오는 만큼 미국 입장에서는 견제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새 반도체 조치에는 120개 이상의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도 포함된다. 다양한 종류의 반도체 장비에 대한 새 제한도 들어가는데 일본, 네덜란드, 한국 등 핵심 동맹국은 빠진다(carveout)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전화평 기자 peace201@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