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한은 “기대인플레 편차 클수록 통화정책 효과 감소”

입력 2024-07-22 13:10
신문게재 2024-07-23 9면

농협유통, 집중호우 피해 농산물 특별할인 행사 진행
(사진=연합뉴스)

 

경제주체들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에 편차가 클수록 통화정책의 효과가 감소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경제연구 ‘기대인플레이션 불일치와 통화정책 파급효과’에 따르면, 2006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전문가들의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나타내는 ‘전문가 기대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정도에 따른 통화정책 효과 변화를 추정한 결과, 기대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수준이 높은 상태에선 통화정책의 효과가 떨어졌다.

심세리 한은 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과장은 “기대인플레이션 불일치 수준이 높은 상태에서는 통화정책 효과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불일치 정도가 높은 상태에서 긴축적 통화정책 충격은 인플레이션을 유의하게 낮추지 못했으며, 성장률 전망치 등 실물지표는 단기적으로 이론과 반대되는 움직임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심 과장은 “반대로 불일치 정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긴축적 통화정책 충격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실물경기를 둔화시키는 전통적인 결과가 도출됐다”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인플레이션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질 경우 전통적 파급경로를 통한 통화정책 효과가 상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을 향후 경제가 탄탄할 것이라는 신호로 받아들이는 경우, 기대인플레이션이 일반적인 긴축효과와 다르게 오히려 상승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심 과장은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대인플레이션의 수준뿐만 아니라 경제주체 간 불일치 정도도 낮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며 “시장참가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기대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정도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통화정책의 예측 가능성과 신뢰성을 높여 경제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