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걱정부터 앞서는 노후… '소득-소비' 매칭전략 짜라

균형잡힌 연금포트폴리오 만들기

입력 2015-01-13 09:00

대다수 직장인은 준비 없는 은퇴를 떠올리기만 해도 소리 없는 공포를 느낀다.

 

삶을 이어가야 하는데, 회사에서 나오던 고정 수입은 없어진다. 장수는 모든 사람이 바라는 것이지만, 준비 없이 은퇴한 사람에겐 고통이 돼 버린다. 그럼에도 막연하게 ‘어떻게 되겠지’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어서 노년의 어려움을 피하지 못한다.



은퇴 후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는 은퇴소득 확보가 절실한 이유다. 

 

은퇴 생활비는 크게 최저 수준의 생활 유지를 위한 최저 생활비, 은퇴 전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필요 생활비, 여유로운 삶을 위한 여유 생활비 등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또 은퇴 소득은 종신수령 물가연동, 종신수령 물가비연동, 비종신수령 물가연동, 비종신수령 물가비연동 소득 등 네 가지로 나뉜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은퇴 생활비의 속성에 맞게 은퇴 소득을 매칭해 대비하라고 조언한다.

‘은퇴소득 월 300만원 만드는 법’을 미래에셋은퇴연구소의 도움을 받아 제안한다. 

 

 

12

* 물종 : 물가연동 종신수령 은퇴소득,  비물종 : 물가비연동 종신수령 은퇴소득,  비종 : 비종신수령을 의미 

파랑셀은 준비한 은퇴소득이 더 많을 경우의 전환율 적용치, 자주셀은 준비한 은퇴소득이 부족할 경우 전환율 적용치

 


은퇴소득을 안정적으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은퇴 생활비의 각 구성요소와 다양한 소득원을 매칭하는 ‘은퇴생활비 3요소-은퇴소득 매칭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

최저 생활비는 식비, 교통비 등 최저 삶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다. 지출 수준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물가만큼 인상돼 실질가치 유지가 필요하다. 국민연금 같은 물가연동 종신수령 상품과 매칭해 대비한다.

필요 생활비는 외식비·차량유지비 등 은퇴 전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데 들어가는 돈이다. 평생 받을 수 있으면서 물가와 연동되지 않는 연금보험 등으로 준비한다. 여유 생활비는 여가비 등 여유로운 생활을 위한 추가적인 지출이다. 평생 받을 수도 없고, 물가와 연동 안되는 연금펀드와 매칭해 대비하는 게 좋다.

최저 생활비, 필요 생활비, 여유 생활비를 1:1:1의 비율로 준비하라고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조언한다. 그러면 각 100만원씩 필요하다. 첫 번째 단계로 공적연금을 통해 최저생활비 100만원을 확보한다. 국민연금처럼 종신수령 물가연동 소득을 활용하고, 국민연금 수령금액이 부족할 경우 예외기간 납부 등으로 가입기간을 늘리거나 배우자 임의가입 등을 활용한다.

국민연금으로 최저 생활비 확보가 어려운 경우 연 3%씩 수령금액이 증가하는 주택연금 증가형이나 종신연금보험을 3~5개 가입한다. 5~10년 단위로 거치 후 받으면 종신수령 물가연동 소득과 유사하게 돈을 받을 수 있다.

둘째, 공적연금으로 100만원을 마련할 수 없는 경우, 공적연금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사적연금 등 은퇴소득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필요생활비 100만원을 위해 사적연금 및 주택연금을 활용한다. 퇴직연금 및 개인연금은 중도인출하거나 확정기간 수령보다는 종신수령이 바람직하다. 필요생활비에 모자랄 경우 기타 금융자산으로 연금보험을 구입하거나 주택연금을 활용해 추가적인 종신소득을 확보해야 한다. 사적연금 및 주택연금으로도 필요생활비 마련이 안되면 네 번째 단계로 인컴형 자산 등 은퇴소득 마련이 필요하다. 인컴형 자산은 월급처럼 안정적으로 들어오는 소득·이자·배당·임대료 등이다.

마지막 단계로 인컴형 자산이나 인출자산 배분을 통해 여유생활비 100만원을 확보한다.

권기둥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연구원은 “종신수령 물가연동 소득이 1, 2 단계를 채우고 남을 경우 10만원당 16만원을, 종신수령 물가비연동 소득이 남을 경우 10만원당 11만5000원씩 줄일 수 있다”며 “나머지 여유생활비는 비종신소득으로 준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길상 기자 cupper@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