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2020년 은퇴세대 노후자산 부족, 부채 증가

60대 금융자산 日의 4배…자산/부채비율은 절반 수준

입력 2015-06-16 16:14

브릿지경제 유승열 기자 = 오는 2020년 은퇴 전후의 연령층은 노후에 쓸 수 있는 자산과 빚을 갚을 능력이 부족해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가계의 금융자산 축적을 제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16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고령자 및 은퇴준비 세대의 가계자산은 일본, 대만 등에 비해 부족했다.

국내 고령세대 및 은퇴준비세대의 2012년 중 1인당 금융자산은 5020만원이었지만 대만은 9310만원, 일본은 1억7230만원이었다.

금융자산 격차는 고령층에서 더 벌어졌다. 40대에서는 한·일간 금융자산액이 비슷하지만 60대에는 일본이 한국의 4배에 달했다.

이로 인해 2020년 이후 국내 은퇴세대는 재취업이나 실물자산 처분에 내몰릴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또 다른 문제는 50~60대에도 여전히 과도한 가계부채를 안고 있다는 점이다. 1인당 금융부채는 한국이 2310만원, 대만이 2190만원, 일본이 3920만원이었다. 규모 면에서 다른 나라보다 많은 수준은 아니지만 문제는 상환능력이다. 금융자산/부채 비율로 보면 한국은 2.2배로 대만이나 일본의 4.3~4.4배의 절반에 불과하다. 이는 채무상환시 고령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된다는 것을 뜻한다.

곽영훈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부동산이 대부분인 국내 가계자산은 일본의 절반 밖에 안되며, 고령층의 금융자산으로 한정하면 4분의 1까지 떨어진다”며 “일본은 가계부채가 60세 이후 거의 해소되지만 국내 고령세대는 40대보다 부채가 많다”고 말했다.

이에 그는 가계 금융자산 형성 및 보강이 용이하도록 정책당국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동산금융제도 개선, 역모기지 활성화, 역외펀드 등 다양한 금융상품 제공 등으로 실물자산을 금융자산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가계부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 가계부채 문제가 경제와 금융시스템에 충격을 주고, 이것이 다시 경기침체를 불러오는 악순환의 발생을 막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당국은 재정부담도 감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곽 연구위원은 “적절한 집행 시기를 놓치면 추후 더 큰 재정지출이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며 “일본이 고령화 초기에 좀 더 적절한 재정·금융정책을 실시했더라면 재정적자의 고착화와 GDP의 250%에 달하는 막대한 정부부채 문제를 완화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열 기자 ysy@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