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대형 건설사도 못버틴다…구조조정 고삐

입력 2024-06-10 15:59
신문게재 2024-06-11 1면

clip20240610152747
(사진=연합)

 

금리인상과 공사비 상승, 부동산 시장 침체 등 건설경기 악재가 지속되면서 대형 건설사들마저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비효율적인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고 성과급 축소에 인원 감축까지 위기 대응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최근 본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최대 2개월 유급 휴직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휴직 기간 동안 기본급의 50%를 지급한다. 회사 측은 분위기 전환을 위한 ‘리프레시 휴직’을 실시한다고 했지만, 업계에선 공사 물량 축소 등으로 인한 원가절감에 나선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포스코이앤씨는 상무급 이상 임원 전체 급여를 10% 이상 감축하기로 했고, 한화 건설부문은 올해 2월부터 임원과 팀장급 이상에 대한 직급 수당을 30% 삭감하고 부서별 예산·지출도 최소한으로 축소시키고 있다.

GS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도 주택 경기 침체가 장기화 되면서 직원들에게 지난해 실적에 대한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 롯데건설은 2년째 성과급이 미지급된 상태로 불필요한 해외 출장을 줄이는 등 원가절감 나섰다.

DL이앤씨는 주택부문에 대한 구조조정을 검토 중이다. 정확한 인원과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다.

나이스신용평가가 최근 발표한 지난해 말 기준 주요 11개 건설사(현대건설, GS건설,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DL이앤씨, KCC건설, SK에코플랜트, 코오롱글로벌, HL디앤아이한라)의 합산 책임준공 약정액은 약 6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대비 5% 가량 늘어난 수치다.

책임준공이란 사업 주체인 시행사가 공사비용을 지불하지 못할 경우 시공사가 약정기간 안에 책임을 지고 공사를 완료하는 방식이다. 최근 같은 고금리에 미분양, 공사비 상승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는 사례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책임준공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건설사는 시행사로부터 공사에 대한 사업비를 받지 못할 경우 유동성 악화로 이어져 재무적 위험도가 한층 커질 수 밖에 없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고금리 장기화와 시장 침체로 업계 전반적으로 위기감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유동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이 더 나올 가능성이 있는 만큼 대형 중견 할 것 없이 리스크 관리를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건설업 재무 건전성이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보다도 나빠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김현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 기업 재무 건전성 수준은 외환위기를 겪고 난 직후인 2000년대 초반이나 글로벌 금융위기인 2009년 수준보다도 악화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상환능력 취약 기업 보유 부채 비중이 이미 높은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 둔화가 지속될 경우 취약 기업 연체율이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채현주 기자 1835@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