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정권 바뀔 때마다 반복되는 POSCO 잔혹사… 지배구조부터 바꿔야

입력 2015-03-17 18:14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치적 외풍에 시달려 온 포스코의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지배구조 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17일 검찰, 재계에 따르면 포스코건설로부터 시작된 비자금 의혹 수사는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을 비롯한 전·현직 경영진을 향한 조사로까지 확산되며 그룹의 타 계열사까지 파장이 미칠 전망인 가운데 지배구조 관련 학계와 재계 단체들을 중심으로 이같은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빨간불들어온포스코
17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 본사 사옥의 모습으로 희뿌연 연무가 가득한 가운데 빨간색 경광등이 보이고 있다. (연합)


정권 교체기마다 곤욕을 치른 역사가 있는 포스코는 2000년 민영화 이후 정부 지분이 전혀 없는 순수 민간 기업으로 운영돼와 오너 체제 중심의 국내 재벌 구조에서 대기업으로는 드물게 주인 없는 전문경영인 시스템을 구축한 것은 의미가 있지만 주인이 없는 만큼 외풍에 취약하다는 것.

이들 경영·지배구조 전문가들은 철저한 검찰 수사를 통해 비리 의혹을 철저히 밝혀낼 뿐만 아니라 더 이상 정권이 바뀔 때마다 포스코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배구조 개선 시스템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포스코건설로부터 시작된 이번 사건도 지배구조의 맥락에서 문제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기업 경영관련 권위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주인기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삼성, 한화같은 기업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주주들이 가만히 있겠느냐”며 “포스코의 지배구조가 제대로 되 있지 못하고 어느 누구도 주인행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일이 매번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분이 전혀 없는 정부에 의해 움직이는 포스코는 아직도 진정한 의미의 민영화를 이루지 못했다.의혹은 제대로 밝혀내되 또 수년 뒤 이런 일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포스코의 제대로 된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한성대 교수) 역시 “지배구조가 제대로 돼있다면 이런 일들이 일어나겠느냐”며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일어났던 포스코의 스캔들은 지배구조가 근본적인 원인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소장은 “주주들이 목소리를 내지 않으니 권리가 없는 이들이 권력을 행사하는 것”이라며 “특히 국민연금관리공단을 비롯한 기관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CEO와 사외이사를 뽑고 승계 프로그램을 제대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기업 경영과 정치를 독립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었다. 

 

오덕규 한국기업지배구조원 박사는 “포스코, KT가 정부 정책과 유관하게 움직일 수밖에 없는 업종이지만 기업의 경영적인 측면과 정치적인 측면은 독립시킬 필요가 있다”며 “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포스코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치적인 논리를 배제하고 시장 경제에 입각한 경영 논리를 우선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매 정권마다 반복돼 왔다는 것은 문제가 있으나 해결 노력은 부족했다는 것”이라며 “오래된 문제로 척결하기 쉽진 않겠지만 정부, 기업, 주주 등 모두의 고민과 노력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한편 포스코의 주력사업이 국가의 기반산업이기 때문에 시장 논리보다 공공성이 앞선다는 전제 하에 객관적인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정선섭 재벌닷컴 대표는 “포스코는 민영화됐기 때문에 소유 지배구조는 잘 돼 있지만 임원들을 선임하는 과정, 절차, 투명성 등의 경영 지배구조 문제가 과거부터 누적돼 왔다”며 “공기업적인 성격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 정부 개입이나 인사 시스템 등을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마련해 나가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혜미 기자 hm7184@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