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美 기준금리 인상설에 신흥국 타격 우려… 한국 딜레마 빠지나

입력 2015-05-26 17:39

미국 기준금리 ‘9월 인상설’에 힘이 실린 가운데 신흥국가에서 대규모 자본이탈이 발생해 통화가치가 폭락하는 등 외환위기가 재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한국은 부진한 경제상황으로 인해 기준금리 인상 혹은 인하 등 어떤 선택도 내리기 쉽지 않아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한국을 포함해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신흥시장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옐런 의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상공회의소에서 “미국 경제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자리를 잡고 있다”며 “예상대로 회복세가 지속될 경우 올해 연방기금금리(FFR) 목표치를 인상하기 위한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실시할 경우 신흥시장은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이뤄지는 연준 금리 인상의 충격을 떨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뒤 미국의 낮은 이자율 덕분에 쉽게 투자를 유치할 수 있었던 신흥국의 금융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먼저 한국은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자본이탈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그러나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경제 탓에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리거나 상당기간 유지하는 기조를 포기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경기부양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이와 관련 사이먼 퀴자노에반스 코메르츠방크 신흥시장 애널리스트는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연준이 6~9개월 안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내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신흥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계속 내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원유 수입국으로 한국과 상황이 비슷한 인도는 올해 들어서만 기준금리를 두 차례 내렸다. 반대로 브라질은 인플레이션 압력 탓에 지난 4월까지 5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에 따라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제각각인 신흥국의 방어책을 조율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FT는 전했다.

한편 FT는 신흥국 내 자본이탈로 금융시스템이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을 비롯한 일부 신흥국의 ‘은행세’를 언급하기도 했다. 은행세는 금융위기가 발생할 경우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고 금융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은행의 외화 부채에 과세하는 부담금을 말한다.

김효진 기자 bridgejin100@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