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올해 수산식품 수출액 35억불 달성… 5년내 해운수송력 30% 확충

해수부, ‘국가 수출물류 지원 및 해양수산 수출 확대 전략’ 발표

입력 2023-02-23 14:30

10월 1∼20일 수출 5.5%↓…무역적자 50억달러<YONHAP NO-2766>
(사진=연합)

 

정부가 올해 수산식품 수출액 35억불 달성을 목표로 ‘고부가가치화 전략’과 ‘다양화 전략’을 투트랙으로 추진한다. 또 촘촘한 국제 물류망 구축을 위해 오는 2027년까지 해운 수송력을 30% 확충한다.



해양수산부는 2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 참석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국가 수출물류 지원 및 해양수산 수출 확대 전략’을 발표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복합 위기와 보호 무역주의 강화로 세계 경제 침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 수출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안정적인 국가 수출물류 체계를 구축해 전통 해양수산업의 수출 확대를 추진하고 크루즈 등 유망 해양산업의 육성을 통해 수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해수부는 먼저 올해 수산식품 실적을 35억불로 잡고 ‘고부가가치화 전략’과 ‘다양화 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고부가가치화 전략’으로 전복, 연어 등 고급 원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연어의 경우 대기업 투자유치를 통해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를 조성해 대량생산체계를 구축한다. 실제로 수산 선도국가인 노르웨이는 연어 단일품목으로 지난 2021년 95억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한 바 있다.

‘다양화 전략’으로는 밀키트 등 최신 소비 경향에 맞는 제품과 수산대체육 등 미래식품을 개발해 중국·일본·미국 중심(62.1%)의 기존 수출시장에서 EU, 동남아, 할랄·코셔 시장 등으로 새롭게 포지셔닝 한다.

수출 산업 확보를 위해서는 크루즈 관광산업, 스마트 항만장비산업, 수산 연관산업을 육성해 나간다. 특히 2016년 약 195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했던 크루즈 운항이 코로나19로 약 3년 만에 재개되는 만큼 인프라 정비에 힘을 쏟는다.

또 세계 4위 컨테이너 처리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항만 장비 대부분이 해외 제품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국산 자동화 크레인과 항만 이송 장비를 개발해 수입대체 효과를 거두기로 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양식 시스템과 어선, 첨단 수산기자재 등 수산 연관산업을 육성해 수산식품과 선순환 수출 생태계를 조성하는 전략도 함께 제시됐다.

국가 수출물류 지원을 위해 인프라 확대에도 공을 들인다.

해수부는 오는 2027년까지 미주 항로에 초대형선과 메탄올 추진선을 투입해 수송 경쟁력을 제고하고 글로벌 친환경 규봄을 선도하는 등 해운 수송력을 30% 늘리기로 했다.

유럽 항로는 국적 원양선사와의 협력을 통해 지중해 항로를 신설하고 동유럽 수송망 강화를 추진하는 한편 중동·인도·남미 등 신흥 유망항로로도 수송망을 다각화해 나간다.

수출의 심장인 항만 인프라 확대를 위해선 2030년까지 18조4000억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해 하역능력을 기존 12억6000톤에서 16억톤으로 20% 확대한다.

항만 배후단지도 여의도 면적의 약 5배를 추가로 공급키로 했다. 부산항에는 ‘스마트 메가포트’ 등 완전 자동화 항만을 구축해 화물처리 속도를 30% 이상 제고한다.

해수부는 또 주요 수출 분야별로 물류·제도적으로 필요한 사항을 밀착 지원한다. 일례로 자동차전용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 수출업계에는 컨테이너 선박을 활용한 대체 수출방안을 제시했다.

수주 순풍인 조선업계에는 친환경 선박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실증·인증을 간소화해 수주 경쟁력을 제고한 바 있다. 물량 부족으로 안정적인 선박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기에는 해운기업과 장기운송계약 체결을 지원키로 했다.

이 밖에도 해수부는 해양수산 분야 전방위 수출 확대를 위해 지난 10일 구성한 ‘해양수산 수출추진기획단’을 중심으로 ‘범정부 수출물류 핫라인’을 구축해 수출 물류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히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세종=이정아 기자 hellofeliz@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