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경남도, ‘우주항공·방산용 실란트 소재 초격차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공모 선정

동부 경남 소재산업 육성 발판 마련…도내 기업 세계시장 진출 지원
양산시 양산산단혁신지원센터에 실란트 국산화 실증평가 기반구축
올해부터 5년 동안 국비 200억원 포함 총사업비 344억원 투입

입력 2024-06-16 12:58
신문게재 2024-06-18 17면

실란트연계주요산업
실란트연계 주요산업.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3월 공모한 ‘우주항공·방산용 실란트 소재 초격차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200억원을 확보했다.



실란트는 부품 사이의 접합부·이음매 등의 틈을 메우기 위해 바르는 액상소재로, 창문 유리나 싱크대·화장실 등의 틈새에 사용되는 실리콘이라 불리는 건축용 재료도 실란트의 한 종류다.

이 사업은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총 344억원을 투입해 우주항공·방위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실란트의 국산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실란트 실증 인증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양산일반산업단지(양산시 유산동 소재)에 있는 양산산단혁신지원센터에 실란트의 실증·평가, 표준 개발, 인증 지원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실란트의 국산화와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2개 과제를 추진한다.

시험·평가·인증 전문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서 사업을 총괄하며, 경남테크노파크와 함께 기반구축 과제를 주관한다.

도료 전문 제조기업인 ㈜노루페인트와 ㈜새론테크는 산·학·연과 협력해 기술개발 2개 과제를 수행한다.

우주항공·방산용 실란트는 항공기의 제조·정비(MRO) 분야의 핵심 기능소재로 연료탱크 누설 방지와 조종실·객실 압력 유지, 비행 중 부품 풀림 방지, 부품 접합면 기밀 유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극저온·극고온 등 극한환경에 반복적인 노출에도 동일한 성능이 유지돼야 하므로, 내후성·유연성·단열성·인장강도 등에서 건축용이나 다른 산업용 실란트 소재와 차별되는 최고 수준의 성능이 요구된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국내 수요기업에서는 실란트를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수입 시 구매량 조절이 불가능해 판매자가 제공하는 대용량 규격으로만 구매하고 있다. 또한 이를 장기간 보관할 경우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관련 업계에서는 국산화 개발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

이에 경남도는 도 주력산업인 우주항공과 방위산업의 공급망을 안정화하고, 경남 동부지역의 소재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관련 산·학·연 및 양산시와 함께 이번 사업을 기획했다. 지난해 중앙부처와 국회 등에 사업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강력하게 건의한 결과 국회 단계에서 사업비가 최종 반영됐다.

도는 이번 사업으로 개발하는 실란트의 실증을 수요기업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연계해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구축하는 실란트 실증·평가 인프라를 미국 연방조달청의 시험기관으로 등록해 향후 실란트 제조 기술을 확보한 도내 기업의 세계시장 진출도 지원할 예정이다.

실란트 국산화를 통한 수입 대체효과는 항공기 분야에서만 연간 1200억원으로 추산되며, 오는 2030년 이후 항공용 실란트 세계시장 점유율 10% 달성 시 연간 400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박완수 지사는 “우주항공·방산용 실란트는 항공기 등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소재”라며 “우주항공·방산을 비롯한 경남 주력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양산시 등 동부 경남의 핵심 소부장 산업을 적극 육성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경남=정도정 기자 sos6831@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브릿지경제 핫 클릭
브릿지경제 단독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