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배터리, 수출 5대 품목 육성 3000억 투입해 고도화·다변화

수출 작년 역대 최고액…골드만삭스, 배터리 기업 GDP 연평균 0.3% 증가 시킬 것
하이니켈 양극재 개발, 리튬배터리 성능 고도화…배터리 아카데미로 인력 육성
유럽 시장 중국 추격 거세…정부의 전략적 자금 지원 필요 목소리

입력 2023-05-25 16:12
신문게재 2023-05-26 4면

산업부, LG에너지솔루션-현대자동차 배터리 합작...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지난 16일 인도네시아 서부자바 카라왕 LG에너지솔루션-현대자동차 배터리 합작공장에 방문해 홍우평 LG에너지솔루션 법인장과 최수호 현대자동차 상무(CFO)로부터 회사 소개 및 애로사항을 청취한 뒤 주요시설을 둘러보고 있다.(연합)

 

정부는 25일 국내 배터리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5년 내 수출 5대 품목으로 키우기로 하고 기술개발 등을 집중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집계에 따르면 배터리 수출액은 지난 2021년 86억7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99억8000만 달러로 15% 증가하며 지난해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다. 배터리 소재인 양극재 수출액은 2021년 43억1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112억7000만 달러로 160% 늘었다.

정부도 국내 배터리산업 지원을 위해 핵심광물 안보파트너십(MSP)에 가입해 주요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 중이고 지난해 11월에는 배터리 얼라이언스(협의체)를 구축해 핵심광물 확보에 나서고 있다.

한국 배터리산업에 대한 외부의 평가도 긍정적이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한국의 전기자동차 공급망 확장에 대한 보고서에서 한국 배터리 기업의 매출이 연평균 43%씩 성장하며 오는 2027년까지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연평균 0.3%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또 지난 3월 열린 인터배터리 행사에서 테네시 등 8개 미국 주정부는 한국의 배터리 기업 유치를 위해 인프라 보조금과 세제혜택, 컨설팅 서비스 등의 지원을 제안하기도 했다.

산업부는 이 같은 수출 증가세 및 성장세를 지속시켜 배터리를 5대 수출 품목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기술개발과 인프라 투자에 3000억원 이상을 투입해 수출 품목 고도화·다변화, 수출 저변 확대를 추진한다. 우선 수출 품목 고도화를 위해 하이니켈 양극재(니켈 함량 95% 이상), 실리콘 음극재(실리콘 함량 20% 이상)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어 수출 품목 다변화를 위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와 나트륨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레독스 전지 등 삼원계외 배터리와 양극재도 개발한다. 산업부는 글로벌 점유율이 35%에 달하는 LFP 배터리에 대한 R&D 과제를 지난달 착수한데 이어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트륨 배터리도 신규 과제를 기획해 관련 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배터리 전문인력 양성에도 나서 배터리 아카데미를 신설해 현장형·맞춤형 인력을 키우고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 제정도 추진해 산업계 중심의 전문인재 육성 및 공급의 법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산업부는 핵심광물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해 해외 자원개발 투자세액공제 재도입과 특별융자 지원규모 확대도 관련 부처와 협의하기로 했다. 이어 한국 기업의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 요건 충족을 위해 배터리 얼라이언스를 통한 광물 프로젝트 발굴을 지원하고 인도네시아 등을 IRA 상 미국 자유무역협정(FTA) 인정 국가로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배터리 수요가 많은 유럽에서 중국 배터리 업체의 점유율이 높아져 정부 차원의 국내 배터리업계 지원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지난 15일 내놓은 ‘글로벌 배터리의 최대 격전지, EU 배터리 시장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EU 배터리 시장점유율은 2020년 16.8%에서 지난해 34.0%로 증가했다. 반면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2020년 68.2%에서 지난해 63.5%로 하락했다.

보고서는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완성차 회사의 배터리 기업과의 제휴가 본격화되는 향후 1~2년이 글로벌 배터리 산업의 판도를 좌우할 결정적 시기라며 정부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 한국도 배터리 분야에 대한 전략적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이원배 기자 lwb21@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