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신안군,홍도 방문해 멸종위기 참달팽이 보존지 환경정화 진행

국립생태원,지속발전협의회,홍도 청년들과 함께 봉사

입력 2024-05-23 18:35

사진 (1) (2)
군 관계자와 지속발전협의회,국립생태원 직원들이 참달팽이 보전협의체 서식지 정화 활동 후 기념 촬영을 했다.
신안군은 국립생태원과 함께 홍도를 방문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 참달팽이 보전을 위해 지난 21일 환경정화 활동을 벌였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활동은 신안군지속발전협의회와 홍도 청년회에서 함께 참여했다.

신안군은 2021년 3월 국립생태원과 함께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사진 (2) (1)
참달팽이 서식지 환경정화 제공=신안군


이에 따라 국립생태원은 2018년 홍도에서 참달팽이 5개체를 도입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초생활사를 구명했고,2022~2023년에 인공증식한 참달팽이 40개체를 홍도와 하태도 일원에 방사했다.

참달팽이 방사 목적은 환경부의 제3차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에 따른 것으로, 주민 인식증진과 지속 가능한 서식지 보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참달팽이 보전협의체를 구성하고 운영하게 됐다.

군은 이를 통해 주민 인식증진과 지속 가능한 서식지 보전 방안을 도모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참달팽이 외에도 신안 섬 지역 등에는 신안지명이 들어간 자생식물이 멸종위기식물 2급인 신안새우난초 등 총 14종이 있다.

사진 (3)
홍도에 서식중인 참달팽이 제공=신안군


신안지명이 들어간 자생식물은 가거누운끈이끼, 가거꼬리고사리, 가거애기닥나무, 가거개별꽃, 가거양지꽃, 흑산가시나무, 홍도까치수염, 홍도서덜취, 홍도고들빼기, 가거줄사초, 흑산도비비추, 홍도원추리, 신안새우난초, 다도새우난초가 있다.

박우량 군수는 “이번 참달팽이 보전협의체 서식지 정화활동은 지자체가 자발적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자원을 확보하고 보전하기 위한 노력의 출발점이다”며 “이를 통해 교육과 홍보를 통한 자발적인 참달팽이 서식지 보호 유도 및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호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안=홍준원 기자 namdo6340@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