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25년 시행 예정 지산학협력 체계 '라이즈' 걱정스러운 이유가?

지산학 참여 테이블 거버너스 구축
20년 산학협력 노하우 연구재단 적극 활용 필요

입력 2023-10-22 19:19

“목검(木劍)도 잡아본적 없는 초보자(지자체)에게 실전용 청룡언월도를 쥐어주려니 칼자루를 잡는지, 칼날을 잡는지도 모르고 헤매는 형국이다.”



25년 교육부가 시행을 공표한 라이즈(RISE) 얘기다.

이대로라면 라이즈가 제대로 가기 어렵다는 걱정이 커지고 있다.

라이즈는 지산학 제 주체들이 협력을 통해 지역혁신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향해 가는 과정이다. 이는 소통을 통해 신뢰를 쌓고, 쌓인 신뢰를 바탕으로 질 높은 협력을 이뤄가는 시스템 구현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사결정기구인 거버넌스부터 구축하고 그 위에서 추진 전략과 사업 및 예산 배정 등이 합의돼 가야하지만, 산학협력사업을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지자체가 칼자루를 쥐고 임의대로 추진하면서 지역 대학들의 기대가 우려로 바뀌고 있다.

올 12월까지 광역지자체들은 교육부에 기본계획 및 사업예산서를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제대로 논의 테이블조차 만들지 못한 곳이 숱하다. 또, 회의를 한두 차례 했다손 치더라도 대학을 대표해 테이블에 앉는 보직자가 산학협력단장이 아니라 지역기업체 대표 한 명 제대로 만나보지 못한 기획처장들인 경우도 여럿이다.

최근 만나본 대학 관계자들에 따르면, 충북은 20억씩 관내 대학에 1/n로 분배하겠다고 한다. “모든 사업이 목표가 있고 그 목표를 달성하는 경주인데, 누가 성과를 내려고 하겠느냐? 그냥 다 쓰고 말지”라는 체념이 퍼지고 있다. 또 충남은 아직 산단장들과 미팅 한 번 없었다. 2달여 전 라이즈 준비를 위해 포럼 개최를 제안했지만, ‘무슨 내용 나온 게 없는데 만나서 뭐하겠냐“며 충남도청 관계자가 거절했다는 전언이다. 충청권의 이런 무사안일과 달리 적극적으로 추진의지를 피력하는 경북도 우려스럽기는 매한가지다.

10여년 이상 산학협력 업무에 종사해 온 지역 교수들이 배제된 채 경북도가 일방적으로 지시하고 이를 수용하는 형태로 라이즈가 준비되면서 ‘1시군 1대학’, ‘대기업 수준의 임금 보장’과 같은 지산학 관계자들의 협의로는 나올 수 없는 방안이 주요 전략으로 마련됐다. “대학 총장들을 담당 과장이 불러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상황에서 뭘 기대하겠습니까. 그냥 하라면 해야 지요. 다 못 받더라도 링크사업 때 받았던 예산의 최대한을 받아서 우리 학생들 교육에 계속 투입할 수 있기만을 바랄뿐입니다.”는 넋두리다.

특히 ‘산학협력 혁신도시’를 표방하고 라이즈 추진에 선도적인 부산도 아직 제대로 된 협의 테이블 하나 만들고 있지 못한 상황임을 감안하면, 25년 라이즈 시행은 안하니만 못하다는 게 산학협력단장, LINC3.0사업단장들의 솔직한 심정이다.

그럼에도 굳이 이러한 혼란과 진통을 알면서도 25년부터 라이즈를 하겠다면 먼저, 지역혁신플랫폼(RIS)이 기대에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 분석과 함께 20여 년간 산학협력 업무를 관장하며 역량을 축적해 온 한국연구재단의 역할 보장 및 강화가 필요하다.

교육부는 올해 초 연구재단 학술진흥본부를 중앙라이즈센터로로 임명했다. 작금과 같은 상황을 우려한 조치였지만, 기재부가 한국연구재단의 역할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아직 제대로 된 역할을 부여하지 못한다는 소문이다. 라이즈의 성공적인 연착률을 원한다면 산학협력이 지산학협력으로 성장해 오는 과정에서 한국연구재단이 쌓은 20여 년 노하우와 경험을 활용해야 한다. 그래서 각 지자체별 혼돈을 누구도 제어하지 못하는 이 상황을 조속히 중앙라이즈센터가 나서서 일단락 지어야 한다. 그래야 라이즈가 그나마 혼란을 최소화하고 시행될 것이라는 기대이다.
김동홍 기자 khw090928@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