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70조 규모 고령친화산업 진흥 관건…구매력 증대·저가 상품 공급

국민경제자문회의, ‘고령친화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방향’ 보고서 발간

입력 2024-04-10 14:25

고령층
서울 한 대학병원에서 고령층 환자와 보호자가 이동하고 있다.(연합)

 

70조원 규모의 고령친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은퇴한 고령자들의 구매력 증대, 저가 상품 공급 등 생산과 소비가 선순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0일 국민경제자문회의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고령친화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방향’ 연구용역(산업연구원)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용역은 한국의 고령자 비중(2024년 65세 인구 전체 14% 이상)이 늘며 소비수요 변화, 제조·서비스업 현황 등 고령친화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고령친화산업이란 노년층의 복지·안전 등을 위해 상품 또는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을 말한다.

보고서를 보면 지난 2021년 기준 고령친화산업 시장 규모는 72조3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 중 제조업은 22조3000억원, 서비스업은 50조원으로 두 배 이상 차이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조업에서 의약품은 10조9000억원(45%)으로 집계돼 전체 고령친화산업 제조업 분야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식품 4조4696억원, 고령친화용품 4조494억원, 의료기기 1조8099억원, 화장품 1조964억원 순으로 분석됐다.

서비스업의 경우 금융 서비스가 35조8000억원으로 전체 서비스업의 70%를 차지했다. 이어 요양 서비스가 10조5000억원, 여가 서비스 3조4541억원, 주거 서비스 2005억원, 급식 서비스 1354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고령친화산업은 수십조원 규모로 시장을 형성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다만, 보고서는 ‘감당가능성’과 ‘기술적응성’ 문제가 고령친화산업 진흥의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예컨대 은퇴 후 고령자가 감당할 수 없는 가격으로 제품·서비스가 제공되면 고령자들은 이용에 한계를 느낀다는 것이다. 또 고도화된 제품·서비스 때문에 고령자들이 사용에 어려움을 겪으면 되레 고령 친화적이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때문에 보고서는 고령친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생산과 소비가 선순환을 이루고 부가가치와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먼저 정부가 고령자들이 은퇴 후에도 충분한 수입원을 확보하는 정책과 더불어, 지출을 유도할 수 있는 수준의 가격으로 제품·서비스 생산이 가능하도록 연구개발(R&D) 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아울러 기술 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제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 밖에도 보고서는 고령친화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체제의 재검토 및 재구축도 권고했다.


세종=정다운 기자 danjung638@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