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기내면세점·입국장면세점 매출 코로나 19 이전 수준 근접

입력 2024-06-16 10:29
신문게재 2024-06-17 10면

대한항공 기내면세점 모습
대한항공 기내면세점 모습(브릿지경제DB)

 

면세업계가 실적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기내 면세점과 입국장 면세점의 매출은 코로나19 이전 수준까지 거의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관세청과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기내 면세 매출은 2757억원으로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2938억원의 94% 수준까지 회복했다.

올해 1∼4월 매출은 1000억원을 돌파해 지난해 같은 기간(843억원)보다 많았다.

기내 면세 매출은 대한항공, 아시아나 등 관세청 전산시스템에 기내판매업으로 등록된 업체가 제출한 판매 실적이다.

기내 면세 매출은 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693억원으로 감소한 뒤 2021년 416억원까지 줄었다. 그러다 2022년 비행기 운항이 정상화하면서 1256억원까지 회복했다.

이는 면세점 전체 매출과 비교하면 빠른 회복세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면세점 전체 매출은 13조7586억원으로 2019년 24조8586억원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에 그쳤다.

기내 면세의 경우 주류나 선물용 상품이 주로 판매되는 만큼 고환율 영향을 덜 받는다고 면세업계는 강조한다.

 

24061602

면세업계 관계자는 “기내에서는 여행 기간에 사지 못한 선물이나 들고 다니기 힘든 술을 많이 산다”며 “카탈로그만 봐도 부담이 적은 저가 화장품이나 초콜릿, 주류가 대다수”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내 면세점이나 출국장 면세점이 어려운 건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이 들어오지 않기 때문인데 기내 면세는 유커 영향도 미미하다”고 덧붙였다.

2019년 5월에 도입된 입국장 면세점 매출은 눈에 띄게 늘었다.

관세청에 따르면 입국장 면세점 매출은 첫해 346억원을 기록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113억원에서 2021년 55억원으로 감소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2년에 391억원으로 성장세로 돌아선 뒤 지난해 1102억원으로 1000억원을 돌파했다.

입국장 면세점은 인지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데다 최근 해외여행을 떠나는 우리 국민이 많아진 덕을 봤다.

입국장 면세점 이용자는 주로 내국인으로, 지난해 전체 매출의 95%(1045억원)를 차지했다.

내국인 출국자 수는 2022년 655만명에서 지난해 2272만명으로 246.6%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내국인 출국자 수는 742만명으로 전 분기보다 13.9% 늘었다.

한 입국장 면세점 관계자는 “입국장 면세점은 내국인들이 타깃이어서 외국인 관광객 영향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ssy1216@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