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국가별 신용등급 'CCC'로 강등… 한국은 일단 '긍정적'

입력 2015-06-11 16:05

 

2015061201020006693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가 11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의 유럽연합(EU)-라틴아메리카·카리브 국가공동체(CELAC) 정상회의장을 떠나며 시계를 가리키고 있다.(AP=연합)

 

브릿지경제 문은주 기자 = 무디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 등 세계 3대 신용평가사가 순차적으로 국가 신용등급 성적표를 내놓고 있다. 올해는 러시아발 경제난이 정국 불안으로 이어지면서 연쇄 강등 분위기가 감지되는 등 전반적인 신용등급 하락세가 예상됐으나, 하향세보다는 양극화가 두드러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그리스는 신용등급이 올해만 세 차례나 강등됐지만 포르투갈, 아르헨티나 등은 2014년 하반기부터 3차례에 걸쳐 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됐다. 김효진 국제금융센터 조기경보실 연구원은 “구제금융을 졸업한 뒤 신용등급이 점차 높아진 국가들이 작년 하반기부터 꾸준히 늘고 있어 낮은 등급을 받은 국가와 대비를 이루면서 올해는 전체적으로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 3차례나 강등, 불안불안한 그리스

비즈니스인사이더 등 외신은 S&P가 그리스의 국가 신용등급을 ‘CCC’로 강등했다고 10일(현지시간) 전했다. 지난 4월 ‘B-’에서 ‘CCC+’로 한 단계 강등한 지 불과 두 달만에 또 다시 떨어진 셈이다. S&P는 국제 채권단과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그리스가 1년 이내에 디폴트(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질 수 있다며 강등 배경을 설명했다. 그리스는 아직 국제 채권단과의 협의에서 성과를 내지 못한 상태다.

지난 1989년 이후 최고 신용등급(AAA)을 지켜온 호주는 철광석 등 자원 가격이 급락하면서 재정상태가 취약해졌다는 분석에 따라 신용등급이 떨어질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만약 S&P가 호주의 신용등급 전망을 수개월 내 하향조정한다면 최대 2년 안에 호주의 신용등급이 강등될 확률은 30%까지 높아진다. 일본의 국가 신용등급은 기존 ‘A+’에서 ‘A’로 한 계단 떨어졌다. 일본을 평가했던 피치는 일본이 2015 회계연도(2015년 4월∼2016년 3월) 재정구조를 충분히 개선하지 않아 재정 건전화에 대한 의지가 불확실한 점을 강등 이유로 설명했다.


◇ 미국·아일랜드는 안심…우리나라도 일단 안심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미국의 신용등급은 현행 AA+ 상태를 유지하게 됐다. S&P는 미국 경제는 유연한 경제정책 마련 등 다변화돼 있고 복원력이 좋다고 평가했다. 앞서 5일에는 아일랜드의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 ‘A’에서 ‘A+’로 한 단계 올리고 ‘안정적’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세법 개선 등으로 외국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재정 개선과 공공 자산 매각 등을 통해 국가 부채를 줄여나간 것이 아일랜드의 신용등급 향상 이유로 꼽힌다.

한국의 적용등급은 이르면 오는 9~10월께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이미 3대 신용평가사가 평가를 위해 한국을 다녀갔다. 지난 4월 무디스는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기존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전망했다. 항상 좋은 평가를 받았던 대외 건전성 외에도 장기 플랜을 통해 재정 건전성에도 신경을 썼다는 점이 반영된 것이다. 다행히 현재 우리 경제의 최대 악재로 꼽히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은 신용등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가 신용등급을 평가할 때는 단기적인 이벤트보다는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점치기 때문이다. 지난 2003년 홍콩에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이 창궐했을 때도 홍콩 국가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최진광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과 사무관은 “우리나라는 그간 안정적인 성장을 해왔던 만큼 (국가 신용등급 결정 절차상) 메르스 역풍과 상관 없이 예상대로 긍정적인 신용등급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문은주 기자 joo0714@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