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기자수첩] 경청해야 할 “환경파괴가 코로나19 원인일 수 있다”는 주장

입력 2020-04-19 11:02
신문게재 2020-04-20 19면

증명사진_파일_2
이원배 정치경제부 기자

말 그대로 팬페믹(대유행) 현상으로 전 세계를 휩쓸며 엄청난 피해를 안기고 있는 코로나19의 발병 원인과 전파 경로는 현재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여러 추측과 가설만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지적되는 점이 있다. 코로나19를 비롯한 신종 감염병의 원인 중 하나가 환경파괴·기후변화일 수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입법조사처 보고서(이혜경 조사관)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숙주로 과거 사스와 메르스의 사례를 들어 박쥐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해외 여러 연구에서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천산갑에서 채취한 바이러스 유전체의 염기서열이 코로나19 감염자의 바이러스 서열과 거의 일치한다며 숙주가 천산갑일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특히 박쥐나 천산갑은 코로나19가 시작된 중국에서는 식용으로도 쓰여 이 같은 주장을 더 뒷받침하고 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지난 16일 미국이 천산갑 등 야생동물의 보호에 미온적으로 대처해 코로나19 같은 신종 전염병 예방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환경파괴와 기후변화로 야생 동물의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고 이로 인해 인간과 접촉이 과거보다 더 많아졌다고 주장한다. 때문에 인수공통전염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규명 작업이 필요하지만 이 같은 주장이 맞을 경우 결국 인간의 환경파괴가 신종 질병 발생을 가속화 시킨 셈이다. 때문에 신종 전염병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야생동물의 무분별한 식용 및 불법거래, 환경파괴, 기후변화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야생동물 식용의 경우 전통식문화, 생존의 문제로 간섭하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문제가 있는 만큼 규제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코로나19가 종식되면 세계보건기구나 유엔 등이 나서 대응책을 마련하기 기대한다.

이원배 정치경제부 기자 lwb21@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