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임미애 의원 “대구시ㆍ한수원 SMR 사업화 위한 MOU 문제투성이”

업무협약에 대한 다양한 의문 제기

입력 2024-06-19 17:59

임미애 의원 “대구시ㆍ한수원 SMR 사업화 위한 MOU 문제투성이
임미애 국회의원. 사진 제공=임미애 의원실 제공




대구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이 17일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화 협약을 체결하자 민주당 임미애 국회의원이 이 협약은 문제투성이라며 다양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날 임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SMR이 300MW 소형원전이라 대형원전 대비 1000배 정도 안전하다고 주장하지만, 그 주장의 근거를 찾아볼 수 없다”며 “(이번 협약) 전체 원전은 680MW로 (이는) 월성원전 규모로 커져 주민 대피가 필요한 방사선비상계획 구역(대형 원전 30km)을 축소하기도 불가능하다”고 했다.

또한 “미국 뉴스케일사가 2020년 설계인증 심사를 획득했다고는 하지만, 단위 모듈 50MW 모델로 미 원자력안전위원회 인증을 받았으나 완전한 승인은 아니었고 조건부로 획득했다. 그마저도 경제성이 없어서 상용화가 불가능해지자 인증받은 모델을 폐기했다”며 “지금은 77MW로 모듈을 격상해 재인증 심사를 추진 중이며 아직 그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SMR의 수요 전망을 2035년까지 140조 원 시장 규모로 예측했지만, 재생에너지는 당장 전 세계 시장이 매년 1000조 원 규모로 커졌다”며 “SMR의 경제성 문제로 상용화 전망이 매우 어둡지만 백번 양보해서 상용화가 되더라도 핵비확산 우려항목 논란이 있어서 시장이 협소화될 수 있다”고 했다.

임 의원은 냉각수 공급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로서는 핵발전소의 냉각수로 국민의 주요 취수원인 낙동강 물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낙동강에 냉각수로 사용된 온배수와 정상적으로 운전 중 배출하는 방사능, 그리고 만일에 있을 사고로 인한 방사능까지 방출될 우려가 있다”며 “국민의 식수 안전과 낙동강의 생명력은 회복될 수 없을 것이다”고 했다.

주민 수용성 문제도 의문을 제기했다. 대구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주민의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발전소 건설에 따른 지원 사업을 나열했지만, 실제 지역 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알 수가 없다”며 “이 사업은 지역의 번영이 아닌 이간질에 의한 분쟁과 재앙이 될 수 있다. 지금도 월성 주민은 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주대책을 세워달라고 투쟁하고 있다”고 했다.

임 의원은 “우리나라의 원자력은 역사적으로 해외에서 입증된 기술만을 들여왔다. 이번에 대구 군위군에 들어오는 SMR은 처음으로 입증을 국내에서 하는 것으로 국내 기술로 처음 설계해서 처음 시공하는 것인데 군위가 온갖 시행착오와 위험한 상황을 전부 떠안는 나쁜 시험대가 될 것이다”며 “처음 시도하는 일이므로 사업당사자들조차 앞으로 어떤 일이 어떻게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정말 안전한지,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지는 현재로서는 단언할 수조차 없는 것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구시는 주민의 안전은 팽개치고 돈으로 지역민을 헛된 꿈으로 부풀게 하는 장밋빛 포장과 발표에만 힘 쏟지 말아야 한다”며 “주민에게 다가올 수 있는 실제적인 위험을 소상히 투명하게 밝히고 국민 안전과 주민 수용성 문제를 지금부터라도 진실되게 추진하도록 해야 한다”고 성토했다.


안동=김종현 기자 gim1390@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