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비바100] 젊을 땐 고위험·은퇴 앞두곤 저위험… 믿고 맡기세요

[돈 워리 비 해피] 초보도 투자 가능한 금융시장 자동조종장치 'TDF'

입력 2024-06-27 07:00
신문게재 2024-06-27 12면

24062607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투자자의 예상 은퇴시점에 맞춰 자동으로 자산배분을 조정해줘 은퇴준비펀드로 불리는 TDF(Target Date Fund)가 생애주기에 맞는 자산배분과 글로벌 분산투자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투자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TDF는 언뜻 보기에 복잡해 보이지만, 이름만 자세히 살펴보면 펀드에 대한 대부분 정보 파악이 가능하다. 운용사, 운용전략, 목표 은퇴시점 등 TDF 중요한 정보는 펀드명에 모두 담겨 있어 초보자도 투자에 나설 수 있다. 금융시장의 자동조종장치(Autopilot)로 불리는 TDF 사용 설명서에 대해 알아보자.




◇장기투자와 위험 감수의 방정식, TDF

 

24062620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장기 투자’라는 투자자 니즈에 맞춘 다양한 상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투자자의 예상 은퇴시점에 맞춰 자동으로 자산 배분을 조정해 주는 펀드가 바로 TDF다.

TDF는 펀드 하나로 사회 진출부터 은퇴까지 긴 시간 적립, 자산배분, 분산투자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효과적인 투자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투자경험과 시간이 부족한 초보 투자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투자상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수많은 펀드 중에서도 TDF가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TDF의 이론적 기반에 대해 알아보자. 미국 TDF 시장점유율 37%를 차지하는 TDF 시장의 절대강자, 뱅가드(Vanguard)의 자료에 따르면 TDF는 두 가지 기본 원칙에 기반한다. 첫째, 시장 위험을 감수하면 상당한 잠재적 보상이 따른다. 둘째, 젊은 투자자는 노년층 투자자보다 해당 위험을 더 잘 견딜 수 있다는 원칙이다.

위험 감수에 따른 잠재적 보상은 주식이 채권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성과를 나타내고 투자 기간이 늘어날수록 그 효과가 더욱 뚜렷해진다. 젊은 투자자는 소득 활동, 저축, 투자에 필요한 인적자본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에 따르는 위험을 더 잘 견딜 수 있다. 이렇게 두 가지 사실이 TDF를 노후자산 마련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으로 주목받게 했다.


◇TDF 기본 작동 원리, 글라이드 패스에 따른 맞춤형 자산배분

 

TDF2

 

금융시장에는 다양한 투자 상품이 넘쳐나고, 자산관리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높은 수익을 원한다면 주식형 상품에 장기투자 하라는 조언을 하곤 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한 가지 함정이 존재한다. 주식형 상품 투자에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지만 투자자에게 주어진 인적자본, 시간은 유한하기 때문이다. 장기투자가 가능한 20대 청년에게는 공격적인 포트폴리오가 적합할 수 있지만, 은퇴를 앞둔 50대나 60대 은퇴자에게 지나치게 공격적인 포트폴리오는 때로 부적절한 투자대상이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TDF가 가지고 있는 자산배분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TDF 운용사는 투자자들의 근로기간, 은퇴시점 등 생애주기와 다양한 위험을 감안하고 시간의 흐름을 반영한 자산배분전략인 글라이드 패스(Glide Path, 자산배분곡선)를 수립한다. 그 후 투자자들은 Target Date(목표시점)에 따라 그룹화하고, 사전에 수립된 글라이드 패스 상의 각 그룹 위치에 따라서도 다른 자산배분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그룹별로 제공된 자산배분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TDF 운용사 글라이드 패스와 각 그룹(펀드)의 목표시점까지 잔존기간 변화에 맞춰 자산배분을 자동으로 조정하게 된다.


◇복잡한 TDF 펀드명, 자세히 보면 많은 내용이 담겨 있다

 

TDF3

 

‘○○운용◇◇TDF2050증권투자신탁[주식혼합-재간접형]’ 길고 복잡한 TDF 펀드명이지만, 조금만 관심을 갖고 펀드명만 살펴봐도 많은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TDF 펀드명에는 지금 내가 투자하려는 TDF 운용 주체가 어디인지, 어떤 운용전략을 지향하는지, 해당 펀드의 목표 은퇴시점은 어떻게 설정돼 있는지 등 해당 펀드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돼 있다.

먼저, ‘○○운용’은 TDF 핵심인 글라이드 패스를 수립하고 운용하는 운용사를 의미한다. ‘◇◇TDF’는 일반적으로 TDF 시리즈의 서브 브랜드인 경우가 많지만, 해당 운용사가 서로 다른 운용전략의 TDF 시리즈들을 운용하고 있는 경우 동 펀드가 지향하는 운용전략을 의미하기도 한다.

‘2050’ 네 자리 숫자로 표시된 부분은 TDF목표시점, 즉 투자자의 예상 은퇴시점을 의미한다. ‘빈티지’라고 부리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5년 단위로 제시되고 있다. ‘증권’은 투자 대상에 따른 종류를 의미한다. 대부분 국내 TDF는 ‘증권펀드’로 재산의 50% 이상을 증권 또는 증권파생상품에 투자해야 하지만 일부 TDF는 ‘혼합자산펀드’로 투자대상 자산 비율에 대한 제한이 없다.

‘혼합-재간접형’은 펀드의 구조를 알려준다. 국내 TDF는 대부분 ‘재간접’ 구조이지만 일부 ‘모자’ 구조 펀드도 있다. ‘모자’구조는 ‘모·자’펀드의 운용주체가 동일하지만, ‘재간접’ 구조는 펀드에 따른 운용사의 펀드를 편입하거나 펀드 운용을 해외운용사에 위탁하는 구조다.


출처=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정리=강은영 기자 eykang@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