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사설] 상생형 스마트공장, ‘고도화’로도 만족도 높일 단계다

입력 2023-12-18 14:05
신문게재 2023-12-19 19면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에 중소벤처기업부가 공을 들이고 있다.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내건 지능형 생산공장 구축에 활기를 띠는 것은 그 덕이다.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함께하는, 즉 대기업이 중소·중견기업과 협력해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구축하면 정부가 구축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자발적 확산 체계는 말 그대로 ‘상생형’에 조금도 손색이 없다. 삼성그룹 전자계열사(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SDI)가 참여한 2022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은 마치 교본처럼 모범적이다. 참여 기업의 92.3%에 이르는 높은 지원사업 만족도가 이를 입증한다.

지난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은 3만 개를 초과했다. 양적으로는 일단 성공이다. 2014년부터 정부가 보급사업에 발벗고 나섰기에 가능한 성과다. 다만 전체 스마트공장의 4분의 3 이상이 기초단계에 머무른 점은 보완할 점이다. 특히 고도화 2단계 비율은 불과 몇 %대의 극소수다. 이제 스마트공장의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고도화 1단계를 넘어 생산공정 실시간 제어가 되는 고도화 2단계를 추구할 단계다. 디지털 전환(DX) 역량이 없고 열악한 중소제조기업에 대해서는 생산정보를 디지털화하는 기초단계 구축도 급하지만 말이다.

정부일반형, 부처협업형뿐 아니라 자치단체의 경우에서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현재 전남, 경기, 충남, 충북 등 광역자치단체가 자체 재원으로 지원하는 스마트공장 역시 기초단계 위주다. 사정이 이런데 정부 예산안에서 기초단계 구축 예산이 홀대받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스마트 공장화, 공장 자동화는 노후 설비 개선을 위한 필수 선택지로도 활용해야 한다. 제조업에 닥친 ‘빈 일자리’ 위기의 해결책이 들어 있는 것도 스마트공장의 장점이다. 하지만 기존 상생형 사업은 제조업이 집중된 특정 지역에 치우치는 문제도 있다. 현장의 ‘빈 일자리’와 낮은 생산성 해결을 위해서는 지원 사업의 사각지대를 줄여야 한다.

스마트공장은 IoT, 5G, AI,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적용하는 생리상 보안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고도화 1단계부터 되는 보안솔루션을 기초단계에도 적용했으면 한다. 중기부는 ‘신(新) 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으로 내년에도 중소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구축에 총 1621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 한다. 보급이 쉬운 기초단계 중심의 지원을 점차 보완하면서 ‘뿌려주기식’ 지원의 한계를 극복해야 할 때다. 그래야 생산성과 품질 향상, 더 나아가 매출 향상을 통한 제조업 경쟁력의 선순환이 가능하다. 예산 투입 이후의 후속 관리나 인력 지원도 다소 미흡한 부분으로 지적할 수 있겠다.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