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플랫폼종사자, 전년보다 20.3% 늘어…배달·배송·운전 51만명

‘주업형’ 절반 이상…‘부업형’ 비중 전년대비 35.8% 줄어
월 평균수입 146만4000원…고용·산재보험 가입률 늘어
노동부 “플랫폼종사자 보호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시급”

입력 2022-12-27 16:47

월드컵 2차전 앞두고 분주한 배달<YONHAP NO-4350>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H조 2차전 대한민국과 가나의 경기가 열리는 지난달 28일 오후 서울 시내에서 배달 라이더들이 분주하게 이동하고 있다.(연합)

 

플랫폼을 매개로 노무를 제공하는 ‘플랫폼 종사자’가 올해 약 80만명으로 집계됐다. 15~69세 전체 취업자의 3.0%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난해(약 66만명)보다 20.3% 늘어난 수준이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2022년 플랫폼종사자 규모와 근무실태’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 플랫폼 노동시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됐다.

고객만족도 평가 등의 방법으로 일의 배정에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을 매개로 노무를 제공하는 협의의 플랫폼 종사자는 약 80만명으로 추산됐다. 플랫폼 종사자 중 남성은 74.3%(59만명), 여성은 25.7%(20만5000명)으로 조사됐다. 연령별 증가는 40대(35.3%)가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었고, 30대(31.0%), 50대(21.5%) 순으로 늘었다. 반면 15~19세(-57.19%), 20대(-11.3%)는 줄었다.

직종별로는 배달·배송·운전이 51만 3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통번역·상담 등 전문서비스 8만5000명, 데이터 입력 등 단순 작업 5만7000명, 가사·청소·돌봄 5만3000명, 미술 등 창작활동 3만6000명, IT 관련 서비스 1만7000명 등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배달·배송·운전 직종은 2.2% 증가에 그친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으로 인해 가사·청소·돌봄 직종(89.3%)의 종사자는 크게 늘었다.

플랫폼 종사자 중 57.7%는 주업으로 해당 일을 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47% 증가한 수치이다. 간헐적 참가형의 비중도 21.2%로 전년 대비 91.9% 늘었지만, 부업형의 비중은 21.1%로 전년 대비 35.8% 감소했다. 월평균 근무일수는 14.7일, 일평균 근무시간은 6.4시간으로 전년 대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노동으로 번 월평균 수입은 146만4000원으로 전년(123만1000원) 대비 18.9% 증가했다. 

 

제목 없음
플랫폼 종사자 직종별 규모 변화.(고용노동부 제공)

 

근무 현황별로 ‘어떠한 계약도 맺지 않았다’ 또는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3.4%로 전년(42.3%)에 비해 크게 늘었다. 고용보험 가입률은 46.4%, 산재보험 가입률은 36.5%로 전년 대비 각각 17.3%p·6.4%p가 증가했다.

플랫폼 종사자 중 12.9%는 현재의 플랫폼 일자리가 본인의 첫 번째 일자리라고 응답했다. 직전 일자리에서 플랫폼 일자리로 이동한 1순위 이유로는 ‘더 많은 수입을 얻기 위해서(62.6%)’가 가장 많았고, ‘일하는 시간이나 날짜의 선택이 가능해서(18.0%)’, ‘일에 있어서 개인이 더 많은 자율성과 권한을 가질 수 있어서(6.9%)’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최근 3개월(9~11월) 간 1년 전에 비해 수입이 줄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48%로 수입이 늘었다고 응답한 비율인 24.7%에 비해 많았다. 직종별로는 배달·배송·운전 직종에서는 수입이 감소했다는 응답률이 55%로 과반이 넘었다.

김준영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플랫폼 종사자 규모 증가는 코로나19 이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함께 그간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노무제공 분야가 점차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배달·배송·운전 직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줄고, 주업형과 간헐적 참가형으로 플랫폼 노동이 양분화된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의 최근 플랫폼 노동시장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유진 노동부 근로기준정책관은 “계약도 체결하지 않고 일하는 종사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플랫폼 종사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내년부터 플랫폼 종사자를 위한 법·제도적 보호 기반을 마련하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한 정책적 보호 노력에도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성서 기자 biblekim@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