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하반기,코스피 3200간다"…대신증권, 세계국채지수 편입 시 하반기 상승 전망

입력 2024-06-25 13:30
신문게재 2024-06-26 9면

clip20240625113332
(사진=연합뉴스)

 

최근 코스피가 채권금리 반등과 성장주 부진으로 글로벌 증시에 비해 부진했지만, 하반기에는 3200대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5일 한국거래소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이경민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장은 그간 글로벌 증시 대비 코스피 상승률이 부진했던 가장 큰 이유는 코스피가 채권금리 등락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외국인의 코스피 선물 매수·매도가 채권금리 등락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며 올해 1월과 4월에 채권금리가 반등하자 외국인이 선물을 대규모 매도하며 코스피 급락으로 이어졌다고 짚었다.

또한 코스피는 구조적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고 시총 상위 20개 종목 중 성장주 비중이 14.6%로 높은데, 성장주의 1분기 실적이 부진해 발목이 잡혔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하반기에는 “미국 경기 둔화,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 등에 미 국채 10년물 금리의 중장기 하향 안정세가 유효하다”며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하향 안정화될 경우 강한 외국인 선물 매수가 유입되면서 코스피 강세가 전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하반기 코스피 밴드(범위)를 2620∼3200포인트로 제시하면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고 7월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경우 코스피 저점이 2600선으로 높아지고 3분기부터 상승 추세가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9월 한국 국채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도 코스피의 추가 상승 모멘텀이 될 수 있어 주목해야 한다고 짚었다. 그는 “한국 국채가 9월 WGBI에 편입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며 “과거 신흥국 국채가 WGBI에 편입될 당시 6개월 정도 채권시장으로 글로벌 자금이 대거 유입되고 채권금리 하향세와 해당국 통화 강세가 나타났는데, 코스피도 WGBI 편입 시 강한 상승세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증시 가운데 미국 증시 대비 신흥국 증시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도 예상했다. 이 리서치부장은 “미국은 견조한 경기 모멘텀을 이어가는 가운데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있지만, 제조업 중심의 비 미국 국가들의 경기 회복은 뚜렷해지고 강화될 것”이라며 “이는 달러 약세 압력을 높이는 변화”라고 풀이했다.

이어 “달러 약세 압력이 커질수록 미국 이외 지역으로 글로벌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신흥국 증시의 상대적 강세가 가능할 것”이라며 “하반기에도 미국 증시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나 선진국보다 신흥국 선호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삼성증권도 올해 코스피 하반기 전망 보고서를 통해 코스피 예상 범위를 2650~3150포인트로 제시했다. 양일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업계는 내년 코스피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대비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이는 주요국 증시 중 월등히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메리츠증권이 2600~3150포인트를 제시했고 NH투자증권(2500~3150), 한국투자증권(2500~3000), 현대차증권(2500~3000포인트) 등도 하반기 코스피 상단을 3000선 이상으로 전망했다.

노재영 기자 noh@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