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인천시 갯벌 고립사고 수색 정찰용 드론으로 막는다

무의도·영흥도 바닷가 드론 100일 투입

입력 2024-06-27 20:19

무의도 하나개 해수욕장 인근 갯벌
무의도 하나개 해수욕장 인근 갯벌 위치도. 인천시 제공
본격적인 여름철을 맞아 바닷가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갯벌·갯바위 안전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인천시가 해루질 갯벌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야간 수색·정찰용 드론으로 갯벌사고를 예방한다

인천시와 인천해양경찰서는 체적인 연안해역 안전관리와 사고현장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수색·정찰 무인기(드론)를 운용한다고 27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과 영흥도 내리어촌계 인근 갯벌을 순찰해, 갯벌 활동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구조 필요자 발견 즉시 알림 조치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추진키로 했다.

시는 드론 시범 운영을 통해 880여 명(무의도 340여 명, 영흥도 540여 명)을 출입통제구역과 위험 지역에서 벗어나도록 계도했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4월 25일부터 오는 10월 31일까지 무의도 65일, 영흥도 35일로 총 100일 야간 간조 전 1시간 전 드론을 투입해 순찰과 안전 계도에 나선다.

갯벌 이용객이 많아지는 7~8월에는 20일간 총 33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보통 갯벌 해루질은 물 때(물이 빠지는 시간)를 고려해 사람이 적어 조용하고 조개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밤에 많이 진행되지만, 야간에는 시야 제한으로 인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

드론을 활용한 순찰은 여러 이점이 있다. 이동이 자유로운 드론은 그간 갯벌 활동 인원 파악을 위해 동원한 열영상장비(TOD)의 사각지대와 장거리 인원 파악이 가능하다.

열화상 카메라와 확성기를 장착한 드론은 해경의 단속을 피해 불을 끄고 숨는 야간 갯벌 활동객을 식별할 수 있으며, 안전 수칙은 물론 위험 지역을 안내해 계도가 가능하다.

순찰 중인 드론은 위성항법장치(GPS)와 통신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가 확인돼 인명 및 재산 피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시는 갯벌 순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보다 체계적인 안전관리 방안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김을수 시 해양항공국장은 “시범 운영을 통해 갯벌 사고 예방의 드론 순찰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드론 운영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시민 안전을 위한 관련 기관과의 협업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2일부터 순차적으로 개장한 인천의 해수욕장은 9월 8일까지 운영할 예정이며 시는 백사장, 편의시설, 안전시설, 환경시설, 지원시설 등 해수욕장 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 및 이용객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인천= 이춘만 기자 lcm9504@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