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전체보기

닫기
더보기닫기

노근리사건 희생자 추모식 개최

영동 퍙화공원 추모광장서 열려…유족 위로·피해자 배·보상 관심 촉구

입력 2024-06-28 08:59

137837_151078_575
한국전쟁 초기 충북 영동군에서 발생한 노근리사건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제74주기 희생자 합동 추모식이 27일 노근리평화공원 내 추모광장에서 열리고 있다. (노근리국제평화재단 제공)
한국전쟁 초기 충북 영동군에서 발생한 노근리사건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제74주기 희생자 합동 추모식이 27일 노근리평화공원 내 추모광장에서 개최됐다.



이번 노근리사건희생자 합동 추모식에는 정영철 영동군수를 비롯하여 정부기관 및 유관기관 대표자, 지역주민 등 400여명이 참석해 노근리사건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유족들을 위로하며 아픔을 함께했다.

(사)노근리사건희생자 유족회 주관으로 열린 이날 추모식은 식전공연으로 영동 난계국악단의 국악공연을 시작으로 노근리사건의 발생과 진상규명 과정을 담은 영상물 상영, 국민의례, 남도전통춤가락 연구원 박순영 원장의 살풀이춤, 주요인사의 헌화와 분향 순으로 진행됐다.

정구도 부회장의 경과보고 및 현안과제 발표와 양해찬 회장의 위령사 낭독에 이어 박일웅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 업무지원단장, 황현구 충북도 정무특별보좌관, 강성규 영동부군수, 황승연 영동군의회 부의장이 추모사를 통해 희생자를 애도하였으며. 조희열공연단의 추모공연으로 위령행사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한편 정구도 부회장은 현안과제 설명을 통해 “제주 4·3사건 피해자 보상을 위한 제주4·3사건 특별법 개정이 이미 3년 전에 이뤄졌으나 노근리사건 특별법은 아직 개정이 되지 않았다”며 정부와 제22대 국회의 노근리사건 피해자 배·보상 처리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윤석열 정부와 국회에서 피해자 배·보상 문제에 보다 관심을 갖고 하루빨리 해결해 줄 것을 요청했다.

특히 제주 4·3사건 희생자 유족회 및 제주 4·3평화재단,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광주 5·18 기념재단 등 동아시아 민주·인권·평화 네트워크 단체와 더불어 산청함양사건희생자유족회, 거창사건희생자유족회, 4·19 이기태열사 추모사업회 등 관내·외 유관기관 대표자들이 대거 참석해 추모식의 의미를 더했다.

노근리사건은 1950년 7월 25일부터 29일까지 충북도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경부선 쌍굴다리 일대에서 마을 주민 등 수백 명이 한국을 도우러 온 유엔군의 일원이었던 참전 미군에 의해 억울하게 희생된 사건이다.

영동=조신희 기자 press1200@viva100.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이시각 주요뉴스